전주시 “적자난에 코로나 겹쳐 올해 업체 5곳 부채 150억…시 지원도 한계”
A버스회사 “매달 직원 급여 지급만으로도 빠듯…퇴직금 정상 적립 어려워”
“시내버스업체의 살림살이를 세세히 점검해야 합니다. 시민의 발이라고 하는 시내버스인데, 투명하게 운영해야 맞죠. 가장 기본적인 4대 보험과 퇴직금 관리도 제대로 되지 않는데 기사들을 비롯한 직원들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겠습니까. 기사들 배차 문제나 관리팀 직원 채용 문제 등으로 갑질을 하는 일부 운영진들의 행태도 근로상황을 악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근로환경 개선을 바라는 전주시내버스업체 직원들의 목소리다.
익명을 요구한 A버스업체의 한 직원은 “전주시 보조금을 회사운영자금으로 돌려쓰다 보니 퇴직금이 제대로 적립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회사는 늘 적자운영이라는 말만 하고 대다수 직원들은 자기 몫의 퇴직금이 얼마나 적립됐는지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주시에 따르면 해마다 시내버스업체 5곳에 적자운영 지원을 위한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집계된 지원액은 1050억 규모다. 올 한 해에만 320억여 원을 지원했다. 시는 인건비 상승과 노선 증설 등을 고려해 2019년 273억여 원, 2018년 219억여 원, 2017년 122억여 원, 2016년 105억여 원으로 해마다 꾸준히 지원 규모를 늘려왔다.
하지만 업체에서는 해마다 재정난을 이야기한다. 올해는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승객 감소, 버스요금 인상 보류 등으로 전주시내 버스업체의 손실액이 더 가중됐다는 목소리다.
전주시내버스 재정위원회 운영을 담당하는 전주시 시민교통본부 관계자는 “시내버스업체는 민영으로 운영되는 만큼 ‘퇴직적립금’을 쌓아 직원들의 퇴직금을 지급해야 하지만, 현재는 업체 5곳 모두 퇴직금을 적립할 수 없을 만큼 재정상황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지난 2010년 전주시내버스 대규모 파업 당시 직장폐쇄로 인해 업체에 보조금이 지급되지 않으면서 업체 손실이 커졌고 150억 원 가량의 손실액이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현재 적립된 퇴직금은 전체의 약 10% 수준이며, 퇴직자가 발생하더라도 근로 인원보다 적기 때문에 부채를 내서 근근이 퇴직금을 맞춰주는 실정이라는 것.
이에 대해 한 업체 관계자는 “수입 감소로 인해 회사 운영에도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며 “원래 버스업체는 적자상태에서 시작해 시 보조금을 받아 운영해나가는데 수입 감소 상태가 지속되다보니 그만큼 더 재정압박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도 “올해는 코로나19 상황이 겹치면서 지난해보다 어려움이 커졌다”며 “운수업계 자체가 수익이 난 적이 거의 없고 시 보조금을 받아 근근이 운영해나가는 수준이다 보니 퇴직금 적립율도 높을 수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