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밭 대신 자판기 두드리며 농부가 타작마냥 탈곡기 앞에 선 느낌"
60년 시 인생, 자유를 향한 시인의 탐험 여정을 숨김없이 담백하게 전한다.
“마주 서서 바라보는/ 산과 산 사이/ 강이 흐르네/ 지칠 줄 모르는 잔물결이/ 산을 한없이/ 강변이 되게 하는 강/ 하늘이 보면/ 우리 사이에도 강이 있으리/ 좁혀 앉고 당겨 앉아도/ 한참 더 당겨 앉고 싶은 거리가/ 나를 강변이 되게 하네”(시 ‘너와 나 사이’ 전문)
류근조 시인이 14번째 시집 <넝쿨장미에 대한 의혹>(나남)을 발간했다.
작품 속에서는 류 시인의 자유로움이 돋보인다. 수업 시간에 배운 정형시의 공식과 다르게 그는 시를 통해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와 그의 일상을 담았다.
그는 “이번 시집의 발간을 굳이 비유한다면 여름 한 철 내내 논밭 대신, 자판기 두드리며 모니터 앞에서 농사지은 농부가 타작마냥 탈곡기 앞에 선 느낌이다”며 “다만 노동의 개념으로 보면 중노동(work)보다는 가벼운 그림자 노동(labour)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며 시집을 펴낸 소감을 전했다.
익산 출생의 류 시인은 중앙대 국문과 명예교수로 시인이자 인문학자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1966년 ‘문학춘추’로 등단해 대학 졸업 후 전북의 ‘남풍’과 충남의 ‘시혼’에서 동인으로 활동한 바 있다. 저서로는 시집 <날쌘 봄을 목격하다>, <고운 눈썹은>, <지상의 시간> 등 10여 권과 여행시집 <나는 오래전에 길을 떠났다>가 있다. 현재 그는 <대학지성:In&Out>의 ‘논설고문 칼럼’을 맡는 등, 통합적 관점에서 글쓰기에 주력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