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00:33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시·공연
외부기고

[2024 전주세계소리축제 리뷰] 월드뮤직, 다양한 소리와 서사(敍事)의 향연(饗宴)

image
김현준 음악평론가

전주세계소리축제의 한 축은 늘 월드뮤직이 맡았다. 많은 사람이 국악의 묵직한 존재감을 더 크게 받아들였겠지만, 나는 예전부터 이 소중한 행사의 이름을 ‘전주, 세계소리, 축제’라 끊어 읽곤 했다. 만약 월드뮤직이, 혹은 월드뮤직이 존재할 수 있게 한 시각과 태도가 없었다면 이 축제의 역동성은 오래전에 반감됐을 것이다. 전체의 공연 구성에서 국악과 월드뮤직이 혼재했기에 23년의 역사를 이어오며 더 든든한 뒷심을 키울 수 있었으리란 얘기다.

월드뮤직을 통해 얻게 되는 가장 큰 기쁨은 ‘다양성의 향연’이다. 올해만 해도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 폴란드, 네덜란드, 아일랜드, 이탈리아, 캐나다 등 여러 나라에서 온 음악인들이 무대에 올랐다. 비좁아 보이는 이 지구에는 아직도 우리가 존재조차 모르는 음악이 많다. 흔히 세계화를 운운하며 하나 된 세상을 얘기하지만, 여전히 우리에겐 그들을 바라보는 넓은 시각이 없다.

전주세계소리축제는 세상 곳곳에 감춰진 다양한 아름다움을 발굴해 우리 앞에 펼쳐놓는 월드뮤직 전도사의 역할을 충실히, 꿋꿋이 수행해 왔다. 한쪽에서 농악 장단이 울려 퍼지는 가운데 다른 한쪽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음색의 악기가 낯선 선율을 들려주는 풍경은, 오늘날 음악계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지 직관적으로 설파한다.

우리가 월드뮤직 음악인들에게서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기쁨은, 그 음악만큼 다채로운 ‘서사성의 발견’이다. 단언컨대 단일민족, 단일문화로 이루어진 나라는 없다. 어느 월드뮤직이든 그 안에서는 여러 이질적 요소가 얽히고설키며 많은 이야깃거리를 낳는다. 반대로 서사에서 출발해 음악으로 귀결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래서 특정 월드뮤직을 처음 마주할 때 그에 관한 역사적 배경이나 서사성을 확인해 두면 감상에 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전주세계소리축제가 종종 월드뮤직 공연을 ‘해설이 있는 콘서트’의 형식으로 기획한 것도 그 때문이다.

월드뮤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던 1980년대에는 민속 음악이 다른 음악과 만나는 현상 자체에 의미를 뒀다. 역설적으로 처음 이러한 시도를 감행한 이들도 제3세계에 관심을 가진 영미권 음악인들이었다. ‘이국적인 사운드’가 그들을 사로잡았다. 그러나 오래 지나지 않아 자신의 혈통에 깃든 아름다움을 재확인하려는 음악인들의 노력이 세계 곳곳에서 빠르게 진행됐다. 정치적으로 구소련의 해체 또한 큰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 월드뮤직이 풍성하고 굳건한 흐름을 구축한 데에는 자기가 속한 사회의 민속 음악이 지닌 가능성과 한계를 파악한 뒤 이를 현대적으로 고찰하고, 여기에 다른 차원의 생명력을 부여하려는 음악인들의 진지한 접근이 결정적이었다. 만약 우리가 아일랜드의 민속 음악을 도입해 노래를 만든다면, 그건 외형상으로만 월드뮤직일 뿐, 핵심적이고 궁극적인 월드뮤직의 철학을 따른 결과라 할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전주세계소리축제의 상징 중 하나이자 매년 크고 작은 화두를 던진 개막작들은 대부분 성공적인 한국형 월드뮤직이었다.

전통을 있는 그대로 따를 것인지, 이를 활용해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 것인지는 온전히 창작자들의 선택이다. 말하자면 월드뮤직은 후자에 무게중심이 실린 경우다. 올해 전주세계소리축제에서 만난 여러 월드뮤직 공연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무대는 소리프론티어를 통해 소개된 한국의 젊은 음악인 삼산의 것이었다. 나는 그 공연에서 강박에 갇히지 않은 건강한 영혼을 봤다.

대다수 월드뮤직은 존재 자체로도 가치를 인정받는다. 그러나, 모두 깊은 예술성을 지닌 것은 절대 아니다. 쉽게 마주할 수 없었다고 해서 갈채를 선사할 수는 없다는 뜻이다. 사실 월드뮤직 중에는 ‘별것 아닌데도 마치 신비로운 존재인 양’ 회자하는 경우가 더 많다. 기성 음악 어법처럼 객관적 평가의 틀을 설정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허무하게도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 기획자의 오판에서 비롯될 때가 많다.

관건은 ‘설득력 있는 주관의 정립’이다. 이를 위해 먼저 역사를 올곧게 인식하고, 월드뮤직이 형성되는 데 큰 역할을 한 ‘다른 음악들’에 관해서도 깊이 있고 통시적인 시각을 지녀야 한다. 예컨대 재즈가 없었다면, 월드뮤직은 안착하지 못했을 것이다. 록, 팝, 현대 클래식 등도 같은 맥락에서 월드뮤직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이른바 ‘좋은 월드뮤직’을 솎아내기 위해 민속 음악 자체에 대한 고찰 못지않게 새로운 융합을 촉진한 음악들에 관해 연구하는 태도가 꼭 필요하다.

제23회 전주세계소리축제에 참여해서 여러 벗을 알게 됐다. 나는 그들과 음악에 관해, 월드뮤직의 철학과 태도에 관해 많은 얘기를 나누었다. 그들에게 던진 공통의 질문이 있었다. “왜 이미 놓인 길을 가지 않고 굳이 다른 길을 찾는가?” 누군가는 가슴 속에 자리한 “예술혼”을 꺼내 들었고, 다른 누군가는 그게 “더 재미있어서”라고 했다. “돈 때문”이라 말한 이도 있었다. 가장 인상적인 답은 이것이었다. “어머니가 지금 제가 하는 음악을 아주 좋아하시거든요.”

김현준 음악평론가는

1997년부터 음악 관련 방송, 공연, 워크숍 등을 기획 및 연출했다.『김현준의 재즈파일』(1997),『김현준의 재즈노트』(2004),『캐논, 김현준의 재즈+로그(2022)』를 출간했고, 제41회 한국방송대상 문화예술인 부문을 수상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주세계소리축제 #2024 #월드뮤직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