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통신사협동조합 김지훈 대표
2023년부터 서신 천변에서 플로깅 실천
김 대표 "플로깅 기후위기 문제 변화의 시작점 될 수 있어”
‘이 시간에 쓰레기를 줍는다고요?’
1월 17일 금요일 오전 7시, 김지훈 문화통신사 협동조합 대표가 해도 뜨지 않아 어두컴컴한 아침에 서신동 천변을 걸으며 쓰레기를 줍고 있었다. 한 손에 봉투를 들고 보물찾기하는 사람처럼 천변 곳곳을 훑으며 쓰레기를 줍고 있는 그에게 슬쩍 물었다. “이렇게 이른 시간에 쓰레기를 줍나요?”
2023년 연말부터 서신 천변에서 플로깅을 실천하고 있는 김지훈 대표는 튼튼한 팔다리와 짱짱한 허리만 있다면 누구든 기후 천사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플로깅’은 길거리와 공원, 바닷가 등을 걸으면서 쓰레기를 줍는 행위로, 기후 문제에 관심이 높은 MZ세대 사이에서 입소문 난 기후 행동으로 꼽힌다.
전북의 기후 천사를 소개하고자 기자도 이날 직접 참여해 봤다. 슬쩍 둘러봤을 때는 깨끗했지만 천변 곳곳을 샅샅이 훑어보니 담배꽁초부터 플라스틱 뚜껑, 땅에 묻힌 마스크까지 갖가지 쓰레기들이 튀어나왔다. 플로깅을 시작한 지 1시간쯤 지나자 봉투 안은 쓰레기로 가득 찼다.
평소와 다르게 아침 일찍 쓰레기도 줍고 운동도 하니 기분은 가뿐했다. 하지만 불현듯 이런 생각도 들었다. ‘내가 쓰레기를 줍는다고 세상이 달라질까?’… 의구심을 품고 그에게 물었다. “쓰레기를 주워서 세상이 바뀌었나요?”
스웨덴에서 시작된 ‘플로깅’은 환경보호와 운동효과가 결합한 활동으로 주목받으며 힙한 문화로 자리매김했다. 각종 소셜미디어에는 해시태그(#) 플로깅이 달린 게시물들이 수만 개에 이른다. 최근 들어서는 친환경 이미지를 원하는 기관이나 기업에서 플로깅 행사를 열어 캠페인을 실천하기도 한다.
플로깅이 단순한 거리 미화를 넘어 기후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을까. 김 대표는 환경 문제를 알리는 효과가 크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그가 꾸준히 플로깅을 실천하면서 가족과 주위 예술인들도 플로깅에 관심이 생겼다. 플로깅이 다른 기후 행동에 비해 진입장벽이 낮다 보니 접근도 쉽고 다른 기후 행동 실천으로 확산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평소 기후 위기나 환경문제에 관심은 있었지만, 김 대표도 기후 행동을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 몰랐다. 그린웨이환경축제 감독이었던 대표에게 지인이 “사업으로만 (환경 활동에) 접근하지 말고, 진심으로 접근해야 하지 않겠냐”고 조언했고, 곧바로 플로깅을 시작했다.
그는 쓰레기를 줍다 보니 점점 환경 활동에 진심을 쏟게 됐다고 했다.
“오타니 (야구) 선수가 운동장 모퉁이와 관중석까지 돌면서 남들이 버린 쓰레기들을 줍잖아요. 행운을 줍는다고 하면서 말이죠. 저도 제가 하는 일이 잘됐으면 하는 바람으로 천변을 걸으면서 행운을 주워요. 좋은 마음으로 플로깅을 실천하다 보니 좋은 일들도 많이 생기는 것 같아요”
2년 동안 꾸준히 플로깅을 하다 보니, 어르신들의 칭찬과 용돈은 덤으로 따라온다. 아침부터 사람들에게 “수고한다, 고맙다” 등의 애정 어린 인사를 받으면 더할 나위 없이 큰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플로깅이 기후 위기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겠지만, 변화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자신했다. 에너지 전환 등과 같은 거시적인 관점에서만 환경 문제를 보려고 하기보다는, 개개인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기후 행동을 실천하다 보면 훗날 거대한 변화를 목격할 수 있다고 했다.
꾸준한 변화를 위해 김 대표는 환경 활동에 재미와 가치를 결합한 시도를 계속해서 선보일 방침이다.
캥거루 옷을 입고 등산을 하면서 주운 쓰레기를 앞주머니에 넣고, 배가 많이 나온 사람에게 선물을 주는 환경 활동 ‘캥거루 플로깅’부터 버려진 골판지를 활용해 해양쓰레기의 심각성을 알리는 ‘고래 먹이주기 자판기’ 등 환경에 재미를 더하고 가치를 덧댄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겠다고 약속했다.
플로깅을 마친 뒤 김지훈 문화통신사 협동조합 대표는 이렇게 말했다. “기후 행동이라는 게 거창한 건 아니에요. 자신이 할 수 있는 일부터 실천하면 돼죠. 길거리에 버려진 쓰레기를 줍는 일도 기후위기 해결의 출발점이 될 수 있어요. 작은 실천들이 하나씩 쌓이다 보면 결국에는 세상을 바꾸는 단단한 힘이 될 테니까요"
대표는 주운 쓰레기들을 분리수거하겠다며 바쁘게 걸음을 옮겼다. 플로깅만으로 세상이 변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쓰레기 줍기라는 작은 행동 덕분에 우리의 삶은 보다 나아질 것이라고 믿는다.
△김지훈 대표는
전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김지훈 대표는 사회적 기업인 문화통신사 협동조합을 운영하고 있다. 젊은 청년들과 함께 문화활동을 기획하고, 환경 활동을 실천하고 있다. 2018년부터 2023년까지 그린웨이 환경축제 총감독으로 일했으며 2023년 지구를 지키는 신묘한 자판기 축제 등을 기획해 선보였다. 지난해에는 부안에서 '에코 서바이벌 게임'과 꿈다락 문화학교 '지구를 지키는 신묘한 자판기' 등 기후·환경 활동을 추진해 청소년들이 기후위기, 환경문제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