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는 지방자치가 발달된 선진국 등에서 이미 효과가 증명된 지역활성화 전략이다. 즉, 지방정부인 지자체 또는 지역 민간단체가 지역특유의 이벤트를 적극적으로 주관하여 지역주민들의 범위를 벗어나, 외부지역의 방문객들을 많이 유치함으로써 지역이미지 개선은 물론 침체된 지역경제에 활력을 주고, 지역문화의 발굴보존, 독특한 새로운 지역문화 창출, 또는 지역내부적으로도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응집력과 추진력을 유도해 내려는 움직임이 축제의 핵심이다.
그러나 지역의 축제를 만드는 사람들이 가장 경계해야 하는 것은 축제 프로그램 또는 내용이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았나 뒤돌아 보는 것이다. 일부 지역의 문화행사들이 지역의 홍보와 경제효과면에서 큰 성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나면 다른 지역에서도 이를 모방한 유사 행사를 만든다.
전국 어디서나 거의 유사한 종목들을 서로 모방해 오면서 짧은 시간에 행사를 치르기에 급급했던 상황이었다. 결국 축제이름은 다르나 각 지역문화제의 프로그램 내용들이 미녀아가씨 선발대회, 농악, 난장, 노래자랑, 체육대회 등 공통요소들을 포함한 대동소이한 프로그램 구성이었다.
축제 프로그램 구성은 해당 지역의 문화적 배경 및 지역적 특성을 깊이 고려한 것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방향 설정 없이 각종 이벤트를 마구 끌어들여 종합예술제 형식으로 전개하는 식이었다. 다시 말해서 지역의 전통문화와 현대의 지역문화가 잘 반영된 독창적인 프로그램이 각광을 받을 수 있고 지역활성화에도 도움이 된다.
이번 전주문화축제에 대해서 한번쯤 뒤돌아 봐야 할 때이다. 프로그램의 개발 및 차별성 그리고 지역 홍보면에서는 성공적인 것 같다. 그러나 관광객 유치나 경제 효과면에서는 반성할 점이 많은 것 같아 약간은 찜찜하다. 모 할인점은 돈 한푼 안들이고 엄청난 매출효과를 올렸다. 그것도 외지인이 아닌 지역민의 호주머니를 털어낸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