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왕궁리 유적이 궁성 구조의 완전한 형태를 가진 공간이었다는 사실이 공개된 것은 2004년 12월이다. 부여문화재연구소는 2003년 12월에 시작한 왕궁리 유적의 본격적인 발굴조사 결과를 1년이 지난 그해 말 공개했다. 백제문화권 유적 정비사업으로 주변 유적 발굴조사를 시작한 것이 1989년부터이니 16년 만의 결실. 천도설은 분분했으나 기록으로 남아 있는 역사의 발자취는 희미했던 왕궁터의 실체가 비로소 우리 앞에 펼쳐진 계기였다.
1400년 묻혀 있던 비밀(?)의 실체는 놀라웠다. 남북으로 492m, 동서로 234m의 석축성벽이 드러나고, 대규모의 왕궁성 및 사찰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유적과 유물이 뒤를 이어 발굴됐다. 궁성을 조성하기 위해 기반을 다진 석축과 계단 역할을 하는 월대, 건물과 건물 사이에 자리한 후원, 뒷간(화장실)이 있던 유적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기존에 발굴됐던 터를 구체적으로 확인한 것 외에도 새롭게 드러난 건물지와 유적도 적지 않았다. 남쪽에서는 중문지를 비롯해 2기의 석축과 건물지, 배수시설이 확인되었고, 가마터에서는 ‘王宮寺’가 새겨진 명문 기와와 중국 청자 편, 철제 솥 등 중요유물이, 공방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터에서는 아름답고 정교한 금세공 유물이 쏟아져 나왔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역사학계는 고대 궁성 관련 시설을 위한 대지조성과 공간구획의 흔적에 주목했다. 궁성이 계획적인 설계로 축조되었고 왕궁리 터가 백제 시대 어느 왕궁보다도 완전한 형태의 궁성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는 사실은 학계의 관심을 불러들이기에 족했다.
오늘의 왕궁리 유적은 ‘백제 무왕이 왕궁으로 건립했으나 후대에 왕궁의 중요한 건물을 헐고 그 자리에 사찰을 건립한 복합유적’으로 설명된다. 마무리 정비사업이 진행 중이지만 땅 위로 서서히 드러나고 있는 유적은 지금 그 자체로도 빛나는 유산이다.
그러나 왕궁의 실체가 공개된 지 17년이 지난 지금도 왕궁리 유적의 진실이 물리적 공간의 실체로만 존재할 뿐 역사적 실체가 확인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은 안타깝다. 기록의 부재가 더 아쉬워지는 이유다.
세밑, 왕궁리 유적을 찾았다. 해가 지는 시간에 맞추어 간 덕분에 너른 궁터 유적, 외롭게 서 있는 오층석탑 뒤로 퍼지는 노을의 풍경이 아름다웠다. 왕궁이 없어진 자리, 건물지의 흔적을 따라가다 보니 이 공간에 숨겨있는 역사적 진실이 더 궁금해진다.
무왕은 이곳에서 백제 중흥의 꿈을 어떻게 펼치고자 했을까. 세계문화유산이 된 왕궁리 유적의 실체를 만나는 일은 불가능한 일일까.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