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24 08:29 (Mo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무주

무주군, '반딧불' 마케팅 본격화

무주군이 '무주'하면 청정 '반딧불'이라는 브랜드를 인식시켜 무주군 농·특산물에 대한 인지도와 신뢰도를 높이고 마케팅과 가공·유통시설을 확충해 안정적인 기반을 마련하는 등 농·특산물 마케팅에 본격 나섰다.군은 최근 사과와 머루를 지리적 표시제(농산물 품질관리원, 산림청)에 등록하고 사과와 머루, 머루와인, 천마 등 4개 품목에 대해서는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특허청)에 등록해 무주산 우수특산물에 대한 인식을 확실하게 했다.군은 이들 품목을 중심으로 배추·고추·마늘 등의 채소류, 복숭아·포도 등의 과일류, 된장·고추장 등의 장류 등 다양한 품목을 대형마트와 백화점에 납품하고 있으며, 대도시 70여 곳에서 직거래 장터도 운영하고 있다. 이달초 기준 직거래 장터 매출은 10억여 원에 달하고 있다.특히 머루와인 동굴은 소득 뿐만 아니라 관광 분야에서도 손꼽히는 히트 상품이 되고 있다.적상산 오르는 길목에 위치해 접근성이 좋은 것은 물론, 적상산·안국사 등과의 연계 관광이 가능하고 음악회 등 연중 다양한 이벤트가 마련돼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무엇보다도 270m 동굴 속에서 머루와인의 참맛과 운치를 동시에 느낄 수 있다는 점은 머루와인동굴의 가장 큰 매력. 이 때문에 이달 8일 현재 방문객 33만 4000여 명, 머루와인을 비롯한 농·특산물 매출 10억 1700여만 원 달성이 가능했다.이외에도 MOU를 체결한 샘표식품에 보리(11ha)와 머루(140톤)를 납품하는 등 안정적인 판로를 통해 전국에 무주군의 친환경 농산물을 알리는 기회를 만들고 있다.또한 반딧불 유통 사업단을 구성·운영해 1억 2000여 만원의 소득을 올리고 있는 것을 비롯해 신규 브랜드 개발 사업, 포장재 지원사업, 산머루 산지종합센터 조성사업, 백두대간 주민소득사업 지원사업, 사과 가공시설 지원 사업 등을 추진해 소득기반을 만들고 있다.군 관계자는 "반딧불 브랜드를 통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높은 만큼 무주군의 청정이미지를 지키고 이를 통한 소득 창출에 혼신을 다할 것"이라며 "발로 뛰는 노력이 안정적인 판로를 만들고, 소득기반을 다지는 만큼 잘 사는 무주 행복한 군민실현을 위한 실질적인 농가 소득 증대에 심혈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 무주
  • 고달영
  • 2010.12.10 23:02

'경영난' 무주공용터미널 문 닫나

무주공용터미널(대표 김중식)이 수년간 누적된 적자로 경영난이 가중되면서 폐쇄위기에 봉착했다.지난 1972년 정류장사업면허 취득 후 38년간 지역민들과 애환을 함께 해온 공용터미널은 당초 무주읍 전간도로(현 무주축협)에서 영업을 시작했으나, 도로협소 및 이용객들의 불편을 해소키 위해 1992년 무주읍 당산리로 이전해 현재까지 영업 중에 있다.하지만 주차장 이전에 따른 막대한 공사비와 농촌 인구감소, 자가용 증가 등으로 영업 적자 폭이 매년 증가되면서 자금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상황이다.이는 농촌지역 터미널의 공통된 상황으로, 7년전에는'구천동터미널', 그리고 2년전에는 '설천터미널'이 경영난 등을 이유로 연달아 문을 닫았다.현재 무주공용터미널 이용객은 평일의 1500여명과 장날과 주말의 2000여명. 그러나 갈수록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인구가 줄어들면서 위기를 맞고 있는 실정으로, 올 4월에는 무주에서 영동을 경유하는 직행버스 노선이 폐쇄됐다.이에 따라 주민들은 커다란 불편을 겪고 있으며, 갈수록 주민들은 불만은 높아지고 있다.주민 김모씨(43·무주읍)는"사업주의 어려움으로 서민의 발인 무주공용터미널이 폐쇄 된다면 군민의 공공복리를 위한 편의시설이 없어지는 것 아니냐" 며 "자치단체 등에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또 임모씨(57·무주읍)는"경영난 악화로 터미널이 없어지면 주위의 상권도 무너져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 불 보듯 뻔하다"며 대책마련의 당위성을 강조했다.김중식 무주공용터미널 대표는"원활한 터미널 운영을 위해 직원감소 및 운영비를 절감하는 등 사재를 털어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다"며"비상운영 및 저리융자 등 운영자금 지원이 절박한 실정"이라고 밝혔다.한편 무주공용터미널은 부지면적이 6123여㎡ 규모로, 주변에 의료기관 및 상가 등 17개소가 영업 중에 있다.

  • 무주
  • 고달영
  • 2010.12.08 23:02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