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군이 수해복구 사업에 대해 신속한 예고행정을 펼침으로서 타 자치단체보다 한걸음 빨리 조기착공에 들어갈 수 있게 됐다.
특히 소규모를 제외한 79개소의 중·대형 복구사업도 이미 설계 및 공사입찰이 마무리 단계에 있어 재해의 사전예방에 커다란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
지난 여름 임실지역에 불어닥친 태풍 등의 재해는 1백96개소의 공공시설에 2백50억8천만원의 피해를 가져왔고 사유시설도 11억8천6백만원 등 총 2백62억6천6백만원의 손실을 입혔다.
이 때문에 군은 심민 부군수를 단장으로 수해복구지원단 4개반을 긴급 투입하는 한편 중앙부처의 예산확정 이전인 9월에 3억7천만원의 추경을 편성하고 용역에 돌입했었다.
이와함께 규모가 비교적 큰 용두교 가설공사 등 76개소를 제외한 1백19건의 도로와 하천·수리시설 등 소규모 사업에 33명의 토목직과 임업직 공무원을 투입해 직접설계를 추진했다.
현재 공무원들의 조기작업에 힘입어 85건의 복구설계가 완료됐고 주민공청회를 통해 22건의 공사는 이미 발주에 착수했다.
이같은 임실군의 예고행정은 다른지역 자치단체들보다 한발 앞서가는 신속함을 보임으로써 군민의 신뢰를 다지고 있다.
또한 공무원들의 투입효과로 3억여원의 용역설계비를 절감한데다 내년 장마에 대비, 대형공사도 조기에 마칠 수 있어 주민들의 재해우려를 말끔히 씻을 수 있게 됐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