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집권 2기를 담당할 당과 정부의 주요 포스트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노 대통령은 최근 정동영(鄭東泳) 열린우리당 의장과 김근태(金槿泰) 원내대표를 2차례 가량 만나 당.정 역할분담을 비롯, 탄핵국면 해소후 정국 운영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정동영 의장은 당분간 의장직을 계속 유지하면서 당과 국회 개혁의책임을 맡는 것으로 일단 정리가 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근태 원내대표는 입각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가 입각한다면 통일부 장관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김 대표측은 원내대표를 계속 맡는 방안을 고집해 왔으나, 차기 대권 후보 물망에 올라있는 정 의장과 김 대표의 관계를 고려해 여권 핵심에서 입각쪽을 강력히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차기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정 의장과 김 원내대표의 거취가 가닥을 잡음에 따라원내대표 등 당 주요 핵심포스트 경쟁구도도 좁혀지고 있다.
원내대표에는 이해찬(李海瓚) 의원이 김 대표의 지지세력과 민주당 출신 중진들의 지원 사격속에 가장 선두에 서 있다.
차기 국회의장으로 사실상 내정된 상태인 김원기(金元基) 고문 등 당 중진과 재야파및 386 운동권 출신 당선자들이 이 의원 지지를 선언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당권파측에서는 천정배(千正培) 의원의 출마가 기정사실화 되고 있는 가운데 김한길 당선자가 강한 출마 의욕을 갖고 있어 이들의 교통정리 여부가 관건이다.
사퇴 의사를 밝힌 고 건(高 建) 총리 후임에는 김혁규(金爀珪) 전 경남 지사가가장 앞순위에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