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21:29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보건·의료
일반기사

[한방칼럼]호흡기 약하면 감기 자주 걸려..

 

항상 우리 아이가 건강하기를 바라는 것은 부모들의 변함없는 바람입니다. 그러나 건강하지는 못할망정 잔병치레를 잘하고 항상 비실비실 하는 어린이를 둔 부모들은 걱정이 태산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런 어린이를 허약아라 부르는데, 이 허약아는 특정한 질병으로 몸이 약해져 있거나 뚜렷한 질병은 없으면서도 기능적으로 약한 아이를 말합니다.

 

허약함이 몸 전체이거나 부분일 수도 있고 또한 부모로부터 타고나거나 태어난 후 몸관리를 잘못하여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한방에서는 질병이 허약한데서 비롯된다고 보기 때문에 소화기계 허약아, 호흡기계 허약아, 정신신경계 허약아, 비뇨생식기계 허약아, 운동신경계 허약아로 나눌수 있으며 또한 크게 두가지, 선천적으로 기운이 부족하여 허약해진 경우와 건강하게 태어났더라도 후천적으로 허약해진 경우로 나눌 수도 있습니다.

 

흔히 차를 탄다든지 생선의 냄새가 날 때 '비위가 상한다'고 말하는 비위(脾胃)가 바로 소화기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비위는 음식의 창고이고 기운과 피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그러므로 비위가 허약하면 소화기계 허약증이 나타나는데 허약아 가운데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증상을 주로 호소합니다. 식욕이 없고 잘 먹지 않으며 편식을 하고 소화가 잘 안되는 경우가 많으며 잘 체하고 구취가 심한 경향이 많고 메스꺼움, 구토나 구역질 등이 잦습니다. 또한 설사나 변비가 잦고 교대로 계속되기도 하며 살이 잘 찌지 않고 몸이 수척한 편입니다.

 

또한 어떤 아이들은 감기를 끼고 산다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것은 호흡기 허약증이라 말하며 이때 나타나는 증상을 보면 감기에 자주 걸리고 감기에 걸리면 잘 낫지 않으며, 기침을 잘 하고 찬바람을 쐬거나 찬 음식만 먹어도 기침을 하고 편도선염, 인후염에 잘 걸리며 흔히 편도선이 부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야간이나 새벽에 기침을 자주 하고 재채기와 맑은 콧물을 자주 흘리며 코가 막히고 모세 기관지염, 기관지염, 인후염, 편도선염, 축농증이 합병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기후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정신신경계 허약증이 있으면 잘 놀라고 무서움을 잘 타고 불안해 하며 잠이 깊이 들지 않고 꿈이 많으며 신경이 몹시 예민하여 매사에 신경질을 잘 냅니다. 깜짝깜짝 잘 놀라고 꿈이 많으며 밤중에 갑자기 깨어 우는 경우도 있고 주위가 산만하며 친구들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아이들은 소변이 잦고 시원하질 않으며 밤에 오줌을 싸거나 낮에도 옷에 오줌을 지리고 전체적인 소변량이 적거나 소변색이 탁한 경우가 종종 있으며 아침엘 일어나면 눈두덩이 붓고도 하면 비뇨생식기계 허약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쉽게 피로나 어지럼증을 느끼고 기운이 없어 보이며 비활동적이고 차멀미를 자주 하며 나이에 비해 성장발육이 늦은 편이거나 수면중이나 활동시에 손발에 땀이 많고 봄을 타고 병을 앓고 난 후에는 허약증으로 보고 증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러한 허약아들은 적당한 양의 운동을 시키고 목욕을 자주 시켜 혈액순환을 도와줍니다. 갑작스런 자극이나 TV등의 무서운 내용 등은 피하고 밥을 잘 먹지 않는 경우에는 그 요인을 제거해 주어야 하는데, 예를 들면 청량음료, 사탕, 과자, 간식 등을 제한하고 소화에 지장을 주는 음식은 피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는 일정시간에 적당량을 따뜻이 먹이고 너무 덥거나 차게 키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감기에 자주 걸리면 일광욕, 해수욕, 냉수마찰, 마른 수건 마찰 등으로 피부를 단련해 주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먹여야 합니다. 이런 건강관리를 하였는데도 불구하고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전문 한의사와 상담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김태희(우석대학교 전주한방병원 부인ㆍ소아과 과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