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9 03:37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국제
일반기사

"우라늄농축 발표 미군감축 대응수?"

 

한국이 과학자들의 우라늄 농축 실험사실을발표한 것은 `미국의 주한미군 감축에 대한 대응수일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와 눈길을 모으고 있다.

 

미국의 뉴욕타임스는 4일(현지시간) "한국 `핵프로그램 없다' 거듭 설명"이라는제하의 서울발 기사에서 많은 분석가들이 한국의 우라늄 농축실험 파장을 박정희(朴正熙) 전 대통령 시절 한국이 비밀리에 핵무기 개발을 시도했던 사례와 비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1970년대 미국이 베트남전에서 패퇴하고 지미 카터 당시 대통령이 주한미군을 철수키로 결정하는 등 미국의 대한(對韓) 안보공약이 불확실해지자 박 전 대통령이 극비리에 핵무기 개발에 착수했던 상황과 유사하다는 것.

 

그러면서 이 신문은 한국정부가 우라늄 농축실험 사실을 발표한 시점이 내년 봄주한미군의 3분의 1을 철수시키겠다는 조지 부시 미 행정부의 결정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일본 군사문제전문가의 분석도 소개했다.

 

뉴욕타임스는 그러나 이번 우라늄 농축 실험이 1970년대 비밀 핵개발 프로젝트에 관여했던 연구팀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워싱턴포스트와 뉴욕타임스 등 미국 언론들은 한국의 이번 실험은 만만치 않은 비용 등을 감안할 때 순수 민간차원에서 이루어지기는 매우 어려운 방식이었다며 한국정부의 개입여부에 의혹의 시선을 보내는 분위기였다.

 

특히 평양 수뇌부를 자극하면서 북핵 6자회담이 매우 복잡해 질 것이라는 점도집중 거론했다.

 

이에 대해 장인순 원자력연구소 소장은 뉴욕타임스에 "단순히 호기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참깨알 보다도 적은 분량을 농축한 것"이라면서 "이런 실험이 핵무기 개발을 위한 것이라고 한다면 원자력 전문가들은 웃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