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8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미국작가 펄벅의 ‘대지’에는 메뚜기떼가 농경지를 습격하는 장면이 생생하게 묘사됐다. “하늘이 밤처럼 컴컴해지고 메뚜기들이 서로 부딪치는 소리가 천지를 진동했다. 메뚜기떼가 내려 앉는 곳은 졸지에 누런 황무지로 변해 버렸다”. 피해가 이처럼 엄청났으니 중국인들은 메뚜기떼의 공습을 하늘의 재앙으로 여겼다.
메뚜기떼 공습에 시달리는 지역은 아프리카 중서부 일대를 비롯 중동, 동남아, 남미 일대이다. 메뚜기떼의 재난은 구약성서에도 나오는 것으로 보아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닌 것 같다.
문제는 메뚜기떼가 갈수록 더욱 극성을 부린다는데 있다. 지난 2004년 중동 일대는 아프리카에서 이동해온 메뚜기 수십억 마리의 습격으로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이에 앞서 1957년과 1998년 인도양에 위치한 섬나라 마다가스카라에도 메뚜기떼가 훑고 지나갔다. 정부와 유엔까지 나서 군대와 항공기를 동원하고 농약을 지원했지만 역부족이었다. 중국도 지난 2000년 중북부지방 농경지 366만여㏊가 메뚜기떼로 초토화됐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충북 영동지역에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갈색여치가 수만마리씩 떼를 지어 날아다니며 복숭아·포도등 과수의 열매와 잎을 마구 갉아 먹었다. 피해 지역이 늘면서 자칫 외국의 메뚜기떼 습격과 같은 재앙을 연상케 할 정도이다. 갈색여치는 메뚜기목 여치과의 곤충으로 몸길이 2∼3.5㎝ 크기이다. 암컷 한 마리가 150개의 알을 낳는등 번식속도도 매우 빠르다.
영동은 전북 무주와 인접해 있다. 우려했던대로 무주까지 갈색여치가 이동했다. 전북도 농업기술원은 어제 “최근 무주의 복숭아 과수원에서 갈색여치가 발견됐다”고 밝히고 “아직 발생빈도가 낮아 피해는 경미하지만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밀도가 높아지므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주지하다시피 무주는 반딧불이가 서식하는 청정고장이다. 주산품인 사과는 전국 제일의 맛과 품질을 자랑한다. 친환경 농업지역인 무주에 갈색여치가 번성하면 그 피해는 감당하기 힘들 것이다.
전문가들은 갈색여치의 급증 이유를 지구 온난화나 농약 사용량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조속히 정확한 원인을 조사해 체계적인 방제대책을 세워야 한다. 새삼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