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우량기업 위주
#1=전주에 위치한 벤처기업 A사는 국내외 경제여건 악화로 심각한 자금난에 직면했다.
A사는 최근 정부가 중소기업의 경영난 해소를 위해 은행의 대출 문턱을 낮추기로 했다는 언론보도를 접하고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모 은행을 찾았지만 여전히 높은 은행문턱에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인건비와 원부자재 구입 등에 필요한 1억원을 신규대출 받기 원했으나 재무상황이 나쁘다는 이유로 충분한 담보 제공 또는 보증기관의 보증서를 요구했기 때문이다.
#2=군산 소재 제조업체인 B사는 대출금 만기가 도래함에 따라 거래은행에 대출금 2억원에 대한 만기연장을 요청했다.
경기 악화에 따른 유동성 부족으로 신규대출이 절실한 실정이지만 우선 당장 코 앞에 닥친 대출금 상환을 연장하는게 시급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출기간 연장시 대출이율 상향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은행측의 답변에 대출금 상환 부담이 가중돼 속앓이를 하고 있다.
도내 중소기업들이 체감하는 은행대출 조건이 정부의 중소기업 자금 지원 확대이전보다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지방중소기업청이 지난달부터 도내 중소기업들을 상대로 자금애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178곳의 21.3%(38곳)이 '까다로운 대출심사'를 가장 큰 애로점으로 꼽았으며 '과도한 담보 요구'(20.2%·36곳), '신용보증서 요구'(19.6%·35곳), '높은 대출금리'(16.2%·29곳), '대출한도 축소'(12.3%·22곳), '무응답 등 기타'(6.1%·11곳), '신용대출 거부'(2.2%·4곳), '예금적금 등 꺾기 요구'(1.6%·3건) 등이 뒤를 이었다.
자금용도는 원부자재 구입과 설비투자를 위한 신규대출이 145건으로 전체의 81.4%를 차지했으며 만기연장(13.4%·24건), 기타(2.8%·5건), 부분상환(2.2%·4건)을 위한 자금 신청도 적지않았다.
외형상 시중은행들의 중소기업 대출은 꾸준히 늘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의 자금 체감도가 오히려 악화되고 있는 것은 은행들이 우량기업에게만 집중적으로 대출하면서 대출총액만 늘리고 있을 뿐 정작 자금이 필요한 곳에는 돈을 풀지않아 변칙대출에 의한 착시현상을 초래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전북중기청 관계자는 "은행들이 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을 맞추기 위해 우량기업 위주로 대출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기업들의 자금 체감도가 낮은 실정이다"며 "또한 은행들이 대출금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보증기관의 보증서를 요구하는 것도 자금 지원이 고루 되지 못하는 한 요인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