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8 08:07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건설·부동산
일반기사

"아파트 선호도, 소형 늘고 중대형 줄어"

부동산114, 한국갤럽 설문조사자산처분은 '예금>보험>펀드>주식>부동산' 順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글로벌 경제위기로예금, 펀드, 주식 등 소유 자산을 처분하거나 줄인 가구가 과반수를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아파트 주택형 선호도는 경제위기 여파로 중대형은 떨어진 반면 중소형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와 한국갤럽은 지난 5월 21일부터 6월 12일까지 전국만 18세 이상 1천503명을 대상으로 '2009년 상반기 부동산 시장 현안에 관한 소비자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경기하락 후 예금, 주식, 부동산 등 자산 처분 경험이 있느냐는질문에 응답자의 54.7%가 '일부를 처분하거나 축소한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가장 먼저 처분한 자산은 '예금'이 38.1%로 가장 많았고, 보험(25.7%), 펀드(19.8%), 주식(8.5%)이 뒤를 이었다.

 

반면 부동산을 먼저 처분 혹은 축소했다는 응답자는 7.2%로 자동차(0.5%)에 이어 두번째로 낮았다.

 

이는 부동산의 경우 예금이나 주식 등에 비해 규모가 커 환금성이 낮은데다 가격 하락으로 올해 거래가 쉽지 않았고, 정기적인 지출 비용은 크지 않아 상대적으로처분 사례가 많지 않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형은 3년 전에 비해 99㎡ 이하 소형주택의 선호도가 크게 높아졌다.

 

신규 아파트 분양받을 계획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분양 희망 주택 규모'를조사한 결과 전체의 19.3%가 99㎡ 이하 소형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 2006년 하반기 조사에서 15%가 선호한 것에 비해 4.3%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이에 비해 132㎡ 이상 대형은 3년 전 20.7%에서 올해는 16.6%로 4.1%포인트 줄어들어 경제위기로 투자금이 낮은 소형 선호 현상이 강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99-132㎡ 중형은 3년 전 64.3%에서 현재 63.5%로 비슷했다.

 

소형 인기 상승에는 20대 젊은층과 50대 이상 장년층의 역할이 컸다.

 

20대의 소형 선호도는 3년 전 24%에서 올해 29.1%로 높아졌고, 50세 이상 장년층 역시 18.2%에서 23.4%로 5.2%포인트 커졌다.

 

부동산114 김규정 부장은 "개인소득 증가와 부동산 경기 호황으로 중대형으로이동했던 내집마련 수요자들이 금융위기와 실물경기 침체를 거치면서 다시 소형으로회귀하고 있다"며 "1인 가구 증가와 가구원 수 감소, 고령화 등으로 소형 주택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거주지역의 부동산 가격을 묻는 질문에는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 41.4%가 '이미 바닥을 치고 상승하고 있다'고 답했고 '현재가 바닥권'이라는 응답도 22.2%에 달해 60% 넘는 사람들이 부동산 가격이 바닥을친 것으로 생각했다.

 

반면 지방의 경우 '이미 바닥을 치고 상승하고 있다'고 응답이 24.9%에 그쳐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 경기 인식 차이가 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