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선도사업' 조기 발주, 수질대책 강화
새만금이 국제적 관심과 투자가치를 갖춘 '명품복합도시'로 개발된다.
또 장기사업인 새만금 개발을 가시화하기 위해 방수용 둑 공사 등 '5대 선도사업'이 조기에 발주된다.
정부는 23일 세종로 중앙청사에서 한승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3차 새만금위원회를 열어 이러한 내용을 담은 '새만금 종합실천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종합실천계획은 새만금의 개발방향을 기존 농지개발 위주에서 다목적 복합용지개발위주로 전환하고(농지비율 70%→30%), 내부 토지를 8개 용도로 구분해 용지별개발주제와 전략을 담았다.
전체 2만8천300㏊인 새만금의 8개 용지와 그 면적은 ▲산업용지(3천900㏊) ▲관광ㆍ레저용지(2천490㏊) ▲국제업무용지(500㏊) ▲생태ㆍ환경용지(5천950㏊) ▲과학ㆍ연구용지(2천300㏊) ▲신재생에너지용지(2천30㏊) ▲농업용지(8천570㏊) ▲도시용지(1천460㏊) 등이다.
새만금 전체의 23.8%인 중심지역(6천730ha)은 세계적인 수변도시인 암스테르담,베네치아 등을 참고해 국제 경쟁력과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형태의 명품 복합도시로 개발된다.
외국인 직접투자(FDI), 관광ㆍ레저, 국제업무 등의 용도로 활용될 명품 복합도시의 형태는 ▲방사형 구조 ▲보름달 구조 ▲삼각주 구조 등 3개의 디자인 중 하나로, 국내외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올해 하반기에 확정된다.
정부는 또 새만금 사업 지연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올해안으로 개발용도에 맞는 축조방식을 채택해, 방수시설물 공사에 착수하는 등 5대 선도사업을 우선 추진키로 했다.
5대 선도사업에는 ▲명품 복합도시 및 산업용지 개발 ▲방조제 및 다기능부지명소화 ▲매립토 조달사업 ▲방수제 조기 착공 ▲만경강ㆍ동진강 하천종합정비가 포함됐다.
정부는 아울러 '물의 도시' 새만금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수질 목표를 기존'농업용수'에서 '적극적 친수활동이 가능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생태환경용지를중심으로 공원·녹지 및 친수공간을 크게 확충할 계획이다.
아울러 새만금 내부 토지 개발에는 녹색교통체계 및 신재생에너지 도입, 자원순환시스템 구축 등 저탄소ㆍ녹색개발 기법을 도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번에 마련된 종합실천계획을 토대로 전문가 자문 등 의견 수렴을 거쳐올해안으로 최종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