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9 03:46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서비스·쇼핑
일반기사

귀금속·車·핸드백 수입 큰폭 증가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면서 올해 상반기에 귀금속, 승용차, 핸드백 등의 수입규모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전체 소비재수입 규모는 24.7% 증가한 200억 달러를 기록했다.

 

2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상반기 소비재 수입은 승용차(53.7%), 귀금속 및 보석류(72.7%) 등 내구소비재 중심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4.7%가 증가했다.

 

그러나 상반기 전체수입 증가율(40.2%)보다는 증가폭이 작았다.

 

올해 상반기의전체 수입액은 2천39억달러다.

 

상반기 내구소비재 수입은 78억달러로 전체 소비재 수입 가운데 39%를 차지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32.4% 증가했다.

 

내구소비재 세목별로는 귀금속과 승용차의 수입이 전년동기에 비해 각각 72.7%,53.7%가 늘어 10억달러와 13억달러를 기록하면서 큰 폭의 증가율을 보인 반면, 가전제품은 16.1% 증가하는데 그쳤다.

 

직접소비재는 22.1%가 증가한 52억달러로 나타났다.

 

담배는 20.2%가 증가한 5천500만달러, 주류는 25.1%가 늘어난 2억9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소고기는 37.7% 늘어난 4억8천500만달러로 나타났으나 돼지고기는 지난 4월 발생한 구제역의 영향 등으로 4.5%가 감소한 3억3천800만달러로 나타났다.

 

비내구 소비재는 26.2% 증가한 409억달러였다.

 

세목별로는 화장품 수입이 33.6% 늘었으며 핸드백은 55.2%가 증가한 1억3천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핸드백의 경우 이탈리아(43%)와 프랑스(25.2%)로부터 수입된 고급핸드백이 대다수를 차지했고 중저가품은 중국(25.7%)에서 수입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기획재정부는 귀금속과 보석류의 경우 국제가격 상승 요인 등으로 수입액이 크게 늘어났고 승용차는 수입차량의 국내 판매 호조에 힘입어 수입이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소비재뿐 아니라 원자재와 자본재 수입도 모두 두 자리수 이상의 큰폭의 증가율을 보였다.

 

원자재는 원유 등의 국제가격 상승으로 46.1% 증가한 1천202억6천만달러, 자본재는 설비투자 확대와 함께 수출호조에 따른 반도체장비 등의 도입으로 35.3%가 늘어난 636억200만달러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