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와 과일의 생산자물가(도매물가) 상승률이약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8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채소류와 과실류의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5.4%와 35.4%씩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채소류의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지난 2007년 10월(47.4%) 이후 2년10개월만에 가장 높았다.
과실류의 상승률도 같은 해 7월(37.4%) 이후 3년1개월 만에 가장높았다.
무가 180.8%로 2004년 8월 이후 6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마늘(159.0%), 호박(153.7%), 상추(143.1%) 등 주요 채소 작물도 기록적인 상승률을 보였다.
한은 경제통계국 이병두 차장은 "비가 내리거나 흐린 날씨가 자주 반복되는 등일기가 불순해 작황이 부진한 데다 상추 등 일부 품목은 휴가철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채소와 과일 물가의 급등으로 농림수산품의 생산자물가는 지난달에 작년 동월대비 7.1% 올라 지난해 7월의 14.5% 이후 1년1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그러나 곡물(-11.4%), 수산식품(-7.4%), 축산물(-3.7%) 등의 생산자물가는 내렸다.
농림수산품 생산자물가는 전월 대비로도 4.5% 오르면서 7월(1.5%)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채소는 14.3%, 과실은 13.9%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공산품 중에서는 1차 금속제품이 15.5% 올랐고 코크스·석유제품이 4.7%, 화학제품과 자동차 및 트레일러가 2.3%씩 올랐다.
전력·수도·가스 생산자물가는 전기요금 인상의 영향을 받아 2.0% 상승했다.
서비스 생산자물가는 1.3% 올라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이 3개월째 둔화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