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9 02:12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서비스·쇼핑
일반기사

[두얼굴의 대형마트] ③가격 할인행사의 함정 '미끼 상품'

'가짜 고객유인상품' 으로 유혹 소비자 우롱

대형마트 간에 가격할인 경쟁전이 벌여진 올해 초 시민들이 도내 대형마트에서 쇼핑을 하고 있다. (desk@jjan.kr)

올해 벽두부터 대형마트 간에 가격할인 경쟁이 벌어졌다. 언론은 이를 '삼겹살 전쟁'이라 이름 붙였다.

 

지난 1월 이마트가 삼겹살 목심 달걀 자반고등어 커피 등 12개 제품에 대해 상시 가격인하를 선언하면서 전쟁은 시작됐다. 롯데마트, 홈플러스도 앞 다퉈 동일 품목에 대해 '급(急)'가격 인하를 단행하며 이마트보다 10원이라도 더 싸게 팔겠다는 맞불작전을 펼쳤다. 최저 가격 선언이 잇따르자 이마트는 고구마·오징어·노트북·자체 브랜드 라면 등 인하품목 확대로 응수하며 소비자를 유혹했다.

 

이마트가 삼겹살 100g을 980원에 팔자 홈플러스 롯데마트는 각각 970원, 960원 등 10원씩 내려 팔면서 엎치락뒤치락 하더니 급기야 870원까지 내려갔다.

 

가격 전쟁에 소비자는 대형마트를 찾았지만 일부 품목만 가격을 내린데다, 적지 않은 할인 품목은 물량이 조기 품절되고 있다며 불만을 쏟아내기도 했다.

 

당시 한 대형마트에서 만난 주부 주모씨(33·전주시 서신동)는 "저녁 시간에 대형마트에 가면 할인하는 품목은 상당수 품절인 만큼, 미끼 상품인 것 같다"고 말했다.

 

고상한 말로 고객유인상품, 속칭 미끼상품을 두고 벌어진 대형마트간의 전쟁에 소비자들의 불만은 이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같은 대형마트들의 가격 할인 전쟁은 올해에만 벌써 네 차례 벌어졌다. 삼겹살 전쟁을 시작으로 라면전쟁이 벌어지더니 지난 4월께에는 랍스터 전쟁이 있었다. 고급 식재료로 분류되는 랍스터를 싸게 수입해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에 판다는 것이었다. 또 지난달에는 '꽃게 전쟁'도 벌어졌다. 하지만 대다수의 경우 막상 소비자가 대형마트에 가면 물량이 떨어져 허탕을 치는 경우가 발생했다. 싼 삼겹살 사러 마트에 갔다가 제품이 없자 다른 싸지 않은 물품을 사오게 되는 대형마트의 꼼수에 빠지게 된 것이다.

 

▲가짜 삼겹살 파문

 

이같은 대형마트들의 미끼상품을 통한 손님 끌기는 결국 가짜 상품의 등장을 초래하며 소비자를 우롱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도내 한 대형마트가 앞다리 살이 섞인 '가짜 삼겹살'을 판매한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지난해 4월 초 도내 한 대형마트가 삼겹살을 100g 당 990원에 파격할인 판매한다고 대대적 광고를 펼쳤지만, 이 중 일부를 앞다리 살과 섞어 판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대형마트 측은 문제가 된 부분은 삼겹살과 앞다리살의 경계부분이라고 해명했지만 명백히 소비자를 우롱한 것이다.

 

▲유통체계도 허물어

 

농민들도 대형마트가 고객을 끌어 모으기 위해 벌이는 가격할인 전쟁의 피해자다. 추수철이 되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쌀값 할인행사가 주범이다. 그렇지 않아도 쌀값 하락에 고민이 끊이지 않는 농민들은 대형마트가 벌이는 특별할인 행사 때문에 쌀 시중가격이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대형RPC들은 대형마트의 할인행사 제안에 울며겨자먹기식으로 응할 수밖에 없다.

 

전농 도연맹 관계자는 "정부의 자제 요청으로 지금은 사그라졌지만 1년여전만 해도 대형마트가 쌀을 미끼 상품으로 내놓으며 유통체계를 뒤흔들었고, 이는 고스란히 농민에게 피해로 돌아왔다"고 비판했다.

 

▲새우등 터지는 소매점

 

대형마트들은 지난 3월 라면가격을 최대 20% 할인 판매하는 라면전쟁을 시작했다. 대형마트들의 출혈경쟁에 일부 동네 마트도 라면 가격 인하에 나섰다. 라면이 워낙 소비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제품이라 자의반 타의반으로 가격 할인에 나선 일부 동네마트들은 결국 손을 들 수밖에 없었다. 대형마트가 할인 판매하는 가격은 결국 동네 마트들이 물건을 매입하는 가격과 똑같았기 때문이다.

 

전북전주수퍼마켓협동조합 최진원 이사장은 "대형마트는 2~3일이면 다 팔 수 있는 물량을 확보해 놓고 각 지점별로 조금씩 분할 공급해 행사를 열흘가량 끌고 나간다"며 "싼 값에 고객을 유혹하는 것이지만 결국은 충분한 물량 확보와 질적 담보 없이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임상훈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