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
오늘은 쇠소깍에서 시작해서 외돌개까지 걸을 거예요. 아침 4시 30분에 집을 나섰어요. 사위는 아직도 어둑어둑하고 제주 고깃배 테우도 일어나지 않았어요.
걷다보니, 아침햇살에 유난히 보드라운 잎이 있네요. 녹나무 어린잎인데 꼭 송아지 귀처럼 생겼어요. 새로 갈아 놓은 황토밭이 봄비에 젖은 색과 거의 흡사한 어린잎은 다 자라면 진한 녹색이 되지요. 보드라운 새잎도 바람과 비를 겪다보면 보드라움을 잃어버리나 봐요. 녹나무 줄기에 세월이 파 놓은 고랑도 아주 많네요. 어린잎이 진녹색으로 바뀌면 줄기도 껍질을 통통 터트린 거지요. 그래야 어른 나무로 자랄 수 있으니까요. 홍가시나무도 녹나무와 비슷해요. 어린잎은 투명에 가까운 붉은 색인데 다 자란 잎은 투명함을 잃어버려요. 꽃보다 화려하고 맑기까지 한 홍가시나무 어린잎도 세상의 햇볕과 어둠을 알게 되면 그냥 보통의 잎처럼 되지요.
껍질, 이 말을 입안에 넣고 오래 굴리면 마르고 질긴 꺼풀만 남네요. 여간해서는 찢어지거나 씹히지도 않겠어요. 오십 년을 넘게 살면서 마르고 질긴 꺼풀이 어디 한두 켜였겠어요. 살아있는 것들은 다 껍질이 있지요. 이 껍질은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꼭 필요하지요. 그러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있는 껍질도 너무 단단하면 탄생이나 성장을 방해하기도 하지요. 번데기의 껍질을 터트리지 못하면 나비는 하늘을 날 수 없겠지요. 알 껍질을 깨지 못하면 병아리도 생명이 될 수 없어요. 지금 줄기차게 울어대는 매미도 똑같은 과정을 거쳐 저렇게 깊은 울음을 가질 수 있었겠지요.
사람도 생명이 있는 존재니 껍질을 벗어야 되겠지요. 살면서 내가 분별하여 가졌던 크고 작은 기준들을 다시 돌아볼래요. 내 얕은 지식으로 만들어 낸 많은 가름들을 다시 뒤적여 볼래요. 그리하여 지식도 분별도 다 버리고 얼간이 배어 사는 것도 괜찮겠어요. 밤엔 별이 뜬다고 웃고, 낮엔 달이 졌다고 웃으며 서슬 퍼렇던 시간들을 여의는 것도 괜찮겠어요.
가끔 성경을 읽어요. 예수의 첫 이적 부분을 읽을 때마다 마리아를 자꾸 좋아하게 돼요. 예수가 이적을 행하기 전이어서 사람들은 예수를 전혀 몰랐지요. 그 때 마리아는 예수가 이적을 베풀 수 있도록 배경이 되어준 사람이지요. 일꾼들이 예수의 말대로 술독에 물을 길어다 채울 수 있도록 한 사람은 마리아거든요. 앞에 서지 않고 뒤따라가는 삶도 괜찮은 삶이라고 생각해요. 나보다 더 훌륭한 사람들을 섬기며 따르는 삶도 잘 사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러려면 '나'라는 껍질을 통통 터트려야겠지요. '나'라는 아집을 훌훌 벗어던져야겠지요.
갓 태어난 송아지의 순한 귀 같은 녹나무 어린잎을 마음으로 쓰다듬으며 제주의 올레길을 걷고 있어요. 홍가시나무의 투명하게 붉은 잎을 생각하며 말없이 걷고 있어요. 꽃보다 아름다운 어린잎들이 보드라움과 투명함을 잃지 않고도 열매를 거둘 수 있다면 세상의 한 귀퉁이가 훨씬 밝을 거라는 생각을 오래 했어요.
벌써 걷기 시작한 지 다섯 시간이 흘렀어요. 아직 종착지인 외돌개는 보이지 않네요.
*시인 김영 씨는 1995년 〈자유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 「눈 감아서 환한 세상」, 「다시 길눈 뜨다」, 수필집 「뜬 돌로 사는 일」,「쥐코밥상」이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