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19:56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건·사고
일반기사

조카 남매 구하러 물에 뛰어든 외삼촌 '끝내…'

전주천서 물놀이 사망사고…행정당국 안전관리 소홀

물에 빠진 조카 남매를 구하러 전주천에 뛰어들었던 박모씨를 소방서 구급대가 구조해 심폐소생술을 벌이고 있다. 전주덕진소방서(desk@jjan.kr)

도심하천에서 물놀이를 하다 물에 빠진 조카 남매를 구하기 위해 물에 뛰어들었던 외삼촌이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졌다. 조카 남매도 병원에서 심폐소생술을 받고 있지만 중태다.

 

이날 사고는 도심 한복판에 있는 전주천에서 발생한 사고여서 충격과 함께 행정당국의 안전불감증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 사건 발생= 방학을 맞아 서울에서 전주 외할머니댁에 놀러온 허모양(17·고1)과 동생 허모군(16·중3) 남매는 2일 오전 11시 전주시 진북동 쌍다리 부근 전주천에서 물놀이를 시작했다. 이곳의 평소 깊이는 50cm~1m 사이로 주민들이 여름철 물놀이 장소로 자주 찾던 곳이었다.

 

이날 외삼촌 박모씨(40·태평동)는 "깊은 물속에 들어가지 말라"고 남매에게 거듭 충고했지만 11시30분께 이들 남매가 갑자기 허우적거리기 시작, 외삼촌 박씨가 곧장 물속에 뛰어들었지만 조카를 구하지 못하고 본인도 끝내 숨지고 말았다.

 

주변에서 이 모습을 지켜본 오모씨(59·여)는 119소방서에 구조를 요청했다. 오씨는 "중고생 남매를 구하러 한 남자가 물속에 뛰어들었다"고 신고했다.

 

▲ 구조 과정= 신고를 받고 출동한 완산소방서 구급대와 기동단은 오전 11시 49분에 현장에 도착해 이들을 건져 올렸다. 잠수부까지 동원되면서 펼쳐진 구조 활동은 5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구급대는 곧장 심폐소생술을 시작했지만 이미 심장박동이 멈춘 뒤였다.

 

하지만 구급대는 일말의 희망을 놓치지 않기 위해 응급조치를 멈추지 않고 이들을 병원으로 후송했다. 사고발생에서 병원 후송까지 20여분이 걸렸다. 구급대는 허양을 예수병원으로, 동생 허군은 전주병원으로 옮겼고, 외삼촌 박씨는 전북대병원 의료진에게 이송했다.

 

덕진소방서 구급대와 구조차, 지휘차까지 구조작전에 투입되면서 8대의 차량과 25명의 소방관이 동원됐다.

 

▲ 병원 후송= 병원에 도착한 이들 남매와 외삼촌은 사경을 헤매는 사투를 벌였다.

 

당초 소방서 구급대의 응급조치에선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 병원에서 한때 3명 모두 심장박동이 돌아오기 시작하면서 희망이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2시께 외삼촌 박씨는 끝내 숨졌다.

 

두 남매도 의식을 찾지 못한 채 기계에 의존해 호흡을 하고 있다.

 

병원 관계자는 "처음 병원에 왔을 때와 달라진 건 없고, 상황이 좋지 않은 상태다"고 말했다.

 

▲ 사고 반복= 전주천 물놀이 사망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 때문에 행정당국의 안전관리 소홀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날 사고가 났던 장소(쌍다리)에서는 지난 2007년 8월 물에 빠진 연인과 여동생을 구하고 20대 중반의 남성이 급류에 휩쓸려 사망하는 사고도 발생했었다. 2008년에도 전주천 인근에서 초등학교 3년생인 정모군이 물에 빠져 사망했고, 이보다 앞선 2005년에도 초등학생이 물에 빠져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었다.

 

전주천에선 1993년부터 물에 빠져 숨지는 사망사고가 계속돼 왔지만 이곳 장소에 대한 안전관리는 예나 지금이나 개선된 것이 없었다.

 

▲ 안전망 허술= 여름철 무더위를 식히기 위해 전주천을 찾는 시민들은 꾸준히 늘고 있지만 이같은 사고에 대한 안전대책은 허술하기만 하다.

 

사고지역 부근에는 수영 금지나 물의 수심을 알리는 경고 표지판 조차 없었고 만일의 사고에 대비한 구명튜브 등 안전용품도 비치되지 않았다.

 

어린이와 노인들이 즐겨찾는 전주천이 수심은 얕지만 장마철에 물살이 빨라지거나 하천 곳곳에 웅덩이가 파인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예찰활동이나 최소한의 경보 장치가 필요했다는 지적이다.

 

시민 권형복씨(38)는 "이날 현장에도 노인들과 아이들이 상당수 놀고 있었다"면서 "빠른 구조를 위해 취할 수 있는 도구나 방법이 전혀 없었다"고 아쉬워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진만 kjm5133@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