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환태문학관·최북미술관 개관식이 지난 8일 무주읍 당산리 반딧골 전통공예문화촌 앞 광장에서 홍낙표 무주군수를 비롯한 전북문인협회 정군수 회장과 김남곤 전북일보 사장(시인), 전주미술협회 김삼열 지부장 등 문학 및 미술계 인사 등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홍낙표 군수는 "김환태문학관과 최북미술관이 우리나라 문학 및 미술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전 세대를 아우르는 문화공간, 군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공간으로 자리잡을 것이다"고 기대를 나타냈다.
이날 개관식을 가진 김환태문학관(1274㎡)은 2, 3층에 걸쳐 세미나실과 다목적 영상관, 눌인전시관, 그리고 휴게시설 등을 갖추고 김환태 선생의 비평 선집 등의 저서와 유물들이 전시된다.
최북미술관(1093㎡)은 기획전시실과 수장고, 편의시설 등으로 구성됐으며, 사시팔경도를 비롯한 일출과 귀우귀가도 등 그림 48점과 호산외사와 이향견문록 등 책 7권이 영인본으로 전시될 예정이다.
무주군은 김환태문학관과 최북미술관을 앞으로 군민들을 비롯한 관람객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기반으로 삼기위해 공공성을 우선한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할 방침이며, 학교와 지역, 문화적 소외계층을 염두에 둔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눌인 김환태는 일제 강점기 순수문학의 이론체계를 정립하고 계급주의 등으로 경직된 문단에 순수 비평을 싹 틔운 인물로 꼽히고 있으며 매년 김환태 문학제가 열리고 있다.
호생관 최북은 영정조 시대의 화가로 당시 중국 산수 표현을 선호했던 경향을 비판하고 조선의 산수를 그린 진경산수와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인물로 알려져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