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의 날…소득보전 방안 확대 등 정책적 배려·지원 필요
정부가 지난 1996년 매년 11월 11일을 농업인의 날로 지정했지만 당초 취지와 달리 빼빼로데이 등으로 더 알려지며 유명무실한 날로 전락했다.
11월 11일 농업인의 날을 맞은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전북도연맹 정주성 회장은 "중앙단위에서부터 관위주로 행사가 준비되어지다 보니 해마다 돌아오는 여느 축제와 별 다름없는 하나의 행사로 전락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며 "진정한 농업인들의 생일잔치로, 흙과 생명의 축제로 확고부동해질 수 있도록 현장위주의 농업인의 날로 변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또한 한중FTA 등과 관련 "중국은 한국농산물 시장을 직접적으로 겨냥하기 위해 유기농산물과 친환경 고품질 농산물단지를 조성하는 등 엄청난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사과 재배는 국내의 63배. 유기농산물 생산 시설은 수십 배에 달하는 상황이다"며 "기존의 FTA협상은 그나마 거리가 먼 국가였기 때문에 농산물 특성상 국내산 농산물이 신선도와 안전성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었으나, 지리적 인접성으로 중국의 경우는 달라 이미 축산분야가 한미와 한EU FTA를 통해 전면 개방된 상황에서 중국과의 FTA 추진으로 채소와 과수농가 등 국내 농업은 추가적인 큰 피해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정 회장은 국내농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한중FTA 중단 및 FTA 무역이득공유제 도입 △농업예산 확충, 쌀목표가격 인상 및 밭작물목표가격제 도입 △대통령 직속 농업발전위원회 설치 △농가 생산비 반값정책 실시 △후계농 육성대책 현실화 △농업정책자금 금리 1% 인하 △세계 곡물위기에 대비한 식량자급목표 설정 등의 정책적 배려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어려운 농업환경 속에서 전북농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조언했다.
정 회장은 "우리나라 역대정부는 농업에 대한 잘못된 시각으로 농정철학을 집행해왔다"며 "우리 전라북도만은 중앙농정에 휘둘리지 말고 전북농업만의 색깔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소득이 보전되어야 농업이 회생하고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 직불제도의 확대, 농업생산비 절감을 위한 지자체 차원의 생산비 반값정책, 후계인력 육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 농가부채 경감대책 등을 통해 전북농업의 활로를 찾아야 한다는 것.
마지막으로 정 회장은 전북농업인들에게 당부의 말을 남겼다.
정 회장은 "앞으로 더 크게 불어닥칠 먹거리에 대한 안전성 확보는 곧 농업에 대한 관심과 농업을 천직으로 삼고 살아가는 전북농업인, 우리들의 손에 달렸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농업인들은 친환경적 농산물로 자식처럼 농산물을 생산하고, 우리 지역에서 나는 우리 먹거리를 많이 애용해서 전라북도에서 부는 신명난 우리만의 색깔있는 농업바람으로 대한민국을 흔들고, 세계를 흔들어 보자"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