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시 비전 용역 결과 군내 이장·부녀회장도 구체 내용 제대로 몰라
전주시와 완주군이 전주·완주 통합의 전제조건으로 '전주·완주상생발전사업'을 추진중인 가운데 정작 완주군민들은 이 같은 사업내용을 제대로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주시와 완주군이 상생발전사업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는 한편 신뢰구축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 같은 지적은 전북도·전주시·완주군이 공동으로 희망제작소에 맡겨 30일 공개된 '통합시(市) 비전'에 관한 연구용역 결과에서 나왔다.
희망제작소는 연구용역과정에서 통합과 관련된 주요쟁점을 도출하기 위해 지역주민 의식조사 및 지역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의견수렴에 나섰으며, 완주군내 13개 읍·면 이장 및 부녀회장들에게 발전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청취했다.
특히 농업농촌분야, 주민자치, 예산재정, 상호신뢰구축관련 등 10개 분야로 세분해 완주지역민들의 의견을 물은 결과, '상생사업 등을 통해 전주시가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완주군민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는 답변이 두드러졌다.
이는 전주시와 완주군이 10개 상생발전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지역민들은 이 같은 사업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등 괴리감이 크다는 반증이다. 특히 지역여론을 주도하는 이장 및 부녀회장들조차 '상생사업은 알고 있지만 사업내용은 제대로 모른다'고 답변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완주군민들의 생상사업에 대한 이해도는 극히 낮은 수준이라는 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이에 따라 완주군민들의 전주·완주통합에 대한 불안과 불신을 누그러뜨리고 통합의 진정성을 바로세우기 위해서라도 상생발전사업에 대한 홍보에 주력하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한편 지난해 4월 30일 전북도·전주시·완주군은 통합에 앞서 △청사건립비(424억원) △농업발전기금(1000억원) △택시사업구역 통합 △종합스포츠타운 조성 △농산물도매시장 이전 △대규모 위락단지 조성 △주택·아파트 단지 개발 분양 △공공기관 및 공용시설 이전 등 10개 상생발전사업에 나서기로 합의한 바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전주시와 완주군은 지난 2009년부터 11개 상생협력사업을 추진중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