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22:19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일반
일반기사

'김장 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한국의 ‘김장문화(Kimjang; Making and SharingKimchi in the Republic of Korea)’가 5일 오후(한국시간)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에서 열린 제8차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에서 인류무형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으로 등재됐다.

 

이로써 한국은 종묘제례·종묘제례악, 판소리, 강릉 단오제 등에 이어 총 16건에 이르는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무형유산위는 이날 속개한 회의에서 “한국인의 일상생활에서 세대를 거쳐 내려온 김장이 한국인들에게는 이웃간 나눔의 정신을 실천하는 한편 그들 사이에 연대감과 정체성, 소속감을 증대시켰다”면서 “김장의 등재는 비슷하게 자연재료를 창의적으로 이용하는 식습관을 가진 국내외 다양한 공동체간의 대화를 촉진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나아가 무형유산위는 한국이 제출한 등재신청서가 “무형유산의 본질을 이해하고이를 설명하기 위한 영감을 주는 모범 사례(an inspirational model)”라고 극찬했다.

 

문화재청 대표단으로 바쿠 현지에 파견된 박희웅 국제교류과장은 “애초 우리가 신청한 이름은 ‘김장문화(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였지만, 의장단 회의에서 한국의 김장문화를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영문 명칭에 ‘in the Republic of Korea’라는 말을 붙이기로 했다”면서 “따라서 정확한 등재 명칭은 ‘한국에서의 김장문화’가 된다”고 말했다.

 

김장문화는 등재 심사에 앞선 무형유산위 심사보조기구(Subsidiary Body) 사전 심사에서 방글라데시, 중국, 이탈리아, 일본, 키르기스스탄, 페루의 등재신청서와 함께 만장일치로 ‘등재(inscribe)권고’한 7종목 중 한 종목에 포함됨으로써 등재가 확실시됐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