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예산 5131억…7년만에 2.2배 증가 / 고창·부안군도 10위권 진입
도내 자치단체의 재정력이 날로 악화되면서 지역발전사업과 주민복지사업에 급제동이 걸리고 있는 가운데 완주군의 재정규모가 전국 군(郡)단위 84개 자치단체 중 1위를 기록했다.
28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2013년 완주군의 예산규모(일반회계 본예산 기준)는 5,131억원으로, 2006년 대비 7년여 만에 무려 2.2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도내는 물론 전국 군단위 자치단체 중 예산 규모와 예산 신장률에서 모두 1위이다. 충북 청원군이 2위, 울산 울주군이 3위를 차지했고, 고창군과 부안군도 상위 10위권에 진입했다.
완주군 재정규모 성장의 주요인으로 꼽히는 것은 봉동읍에 자리한 대규모 산업단지. 그러나 2006년 당시에도 완주 산업단지에는 현대자동차·KCC·LS엠트론 등 대기업과 관련 협력업체·중소기업 등이 활발히 가동되고 있었으며, 전국적으로 완주군보다 더 큰 산업단지와 기업체가 입주한 자치단체가 다수 있다는 점에서 완주군의 기록적인 예산 신장의 원인을 산업단지 지방세수 만으로 설명하기는 힘들다.
완주군과 지방자치 전문가들은 예산규모 급상승의 요인으로 세가지 정도를 꼽고 있다. 첫번째는 국가예산사업의 대대적 발굴과 확보이다. 완주군의 국가예산 확보는 2006년 469억원에 불과했으나 2013년 1,180억원으로 2.5배 이상 증가했다. 해마다 임정엽 군수를 비롯 모든 공무원이 국책사업 발굴과 확보를 위해 중앙부처와 국회를 수없이 방문했다.
KIST 전북분원 등 7개 국책 연구기관 건립과 완주 테크노밸리 진입도로 개설, 고산휴양림 일원의 만경강 생태문화관광 기반 구축, 어린이 영어도서관 건립 등 굵직한 국책사업 확보가 대표적 성과다.
두번째는 완주 테크노밸리 조성 등 공격적 기업유치이다. 완주군은 민선4-5기 동안 원스톱 기업 지원체계를 구축해 최적의 기업유치 환경을 조성하고 243개 기업을 유치해 1조 5000억원의 생산투자와 8,282명의 신규 고용창출을 이끌어 지방세수 확충에 크게 기여했다.
마지막으로 로컬푸드, 마을회사 육성, 귀농귀촌 지원, 로컬에너지 등 군정의 초점을 주민에게 맞춘 완주군 농촌활력 정책의 과감한 추진과 대대적 교육예산 투자이다. 이에 따라 ‘돌아오는 농촌’을 만들고, 이를 기업유치와 인구증가로 연계시켰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