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역사박물관 학술대회서 지적 / "출전자와 관계 있으면 본선서 빼야"
전주대사습놀이 경연대회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심사위원 회피제도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무늬만 회피제’가 아닌 실질적인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전주역사박물관이 개관 12주년을 맞아 ‘전주대사습놀이(이하 대사습)’를 주제로 연 제16회 전주학 학술대회에서 심인택 우석대 교수는 지난 2010년부터 올해까지 진행된 대사습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집중 분석했다.
심 교수는 “전주대사습이 지난 40년간 우리나라 각 지역과 단체에서 많은 경연대회를 열리게 하는 초석이 됐으며, 대사습에서 배출한 명인 명창들의 활약을 통해 우리 음악의 저변을 크게 넓혔다”고 평가하면서도 위상을 높이기 위한 심사의 공정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 2009년 제자나 친인척이 경연자로 출전했을 경우 점수를 매기지 않는 심사 회피제를 도입했지만 미진하다는 시각이다.
그는 “대회 요강은 해당 심사위원이 심사회피를 신청하도록 돼 있는데 아예 심사에서 제외해야 한다”며 “현행처럼 심사위원석에 착석해 해당자 란에 심사회피를 표기하고 다른 경연자를 심사하는 것은 잘못된 규정이다”고 밝혔다.
이어 심 교수는 “적어도 판소리 명창부에서는 심사위원 인원을 현재 7명에서 9명으로 확대하고, 본선에서 해당 심사위원을 탈락시켜야 한다”며 “예선과 본선의 심사위원을 다르게 선정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고 제시했다. 실제 지난 6월 치러진 판소리 명창부 경연에서도 장원 수상자가 심사위원장의 제자였다.
더불어 심 교수는 본선진출자를 늘려야 한다고 보탰다. 그는 “각 부문의 본선진출자를 3명으로 하고 있는데, 차후 등위에 대해 설왕설래한다”며 “본선의 의미를 확대하고 긴장과 기대를 높이기 위해 적어도 5명을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대사습이 국내 최고의 권위와 명예를 생각한다면 입상자들이 적어도 1년간 전국의 광역 시·도에서 공연할 수 있는 사후 관리도 이뤄져야 한다”며 “경연 외 축제성을 띤 공연들도 나열식에서 벗어나 10개의 경연 부문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