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 국가장으로…영결식 26일 엄수 / 전북도청 분향소 설치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을 지낸 김영삼 전 대통령이 22일 새벽 서거했다. 향년 88세.
김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0시 22분 서울대병원 중환자실에서 패혈증과 급성심부전증으로 숨을 거뒀다.
서거 당시 김 전 대통령 옆에는 차남 현철씨 등 가족이 자리해 임종했으나 부인 손명순 여사는 곁에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1993년부터 1998년까지 제14대 대통령을 지낸 김 전 대통령은 고령인 데다 체력이 많이 떨어져 종종 서울대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아왔으며, 그때마다 며칠씩 입원했다. 김 전 대통령의 서거로 한국 현대정치를 양분해 이끌어왔던 김대중·김영삼으로 상징되는 ‘양김 시대’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김 전 대통령은 1927년 12월 20일 경남 거제군 장목면 외포리에서 아버지 김홍조와 어머니 박부연의 외아들로 태어나 장목소학교, 통영중학교, 경남고등학교와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1954년 3대 민의원 선거에 최연소로 당선돼 9선(제 5·6·7·8·9·10·13·14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야권 후보단일화에 실패한 채 통일민주당 후보로 독자 출마한 1987년 12월 대통령선거에서 당시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에게 패해 2위로 낙선했다.
하지만 민주정의당·신민주공화당과의 3당 합당을 통해 탄생한 거대 여당 민주자유당에 ‘호랑이를 잡으러 호랑이 굴에 들어간다’고 합류, 박철언 전 의원과의 사활을 건 대결 끝에 대선후보를 쟁취했다. 1992년 대선에서 필생의 라이벌 김대중 후보를 물리치고 당선돼 ‘군정 종식’을 이뤄내며 ‘문민시대’를 열었다.
김 전 대통령은 재임시절과 퇴임 이후 여러 차례 전북을 방문한 것으로 전해진다. 재임당시인 1993년 10월 16일 익산지역에서 진행된 벼 베기 행사에 참여했으며, 2008년에는 당시 도지사의 초청으로 열린 만찬행사에서 전북지역 기관장들과 고견을 나눴다.
김 전 대통령은 야당 당수 세 차례, 야당 원내총무 다섯 차례를 역임하며 평생의 민주화 동지이자 정치 라이벌이었던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군사정권에 맞섰다. 양김의 ‘상도동·동교동’은 민주화 세력의 양대 산맥으로 역사의 한 획을 그었다.
1970년대 후반에는 ‘40대 기수론’을 내세운 야당 당수로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신 체제에 정면으로 맞서다 79년 총재 직무를 강제로 정지당하고 의원직에서도 제명되는 고초를 겪었다.
신군부 정권 시절이던 1980년대 들어서는 23일간의 단식 투쟁, 장기간의 가택연금 등의 모진 정치적 박해와 고난을 겪으면서도 민주화추진협의회 결성, ‘87년 6월 항쟁’ 주도 등을 통해 민주화 운동을 이끌며 군사정권 기반 약화와 직선제 개헌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
‘대도무문’을 좌우명으로 삼았던 김 전 대통령은 평생을 민주화 투쟁과 인권 증진의 외길을 걸으면서 “닭의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는 자신의 신조처럼 군사독재 종식과 민주체제 정착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재임 기간 ‘칼국수’로 상징되는 검소함과 청렴함을 표방하면서 하나회 청산과 금융·부동산실명제 도입, 지방자치제 실시, 전방위적 부패 척결 등을 통해 사회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한 단계 끌어올리는 성과를 냈다.
그러나 이런 업적에도 임기 중 친인척 비리와 외환위기에 따른 국가 부도 사태 초래로 임기 초반 누렸던 국민의 절대적 지지를 상실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호남지역을 포위한 ‘3당 합당’, 상도동으로 대변되는 ‘가신정치’는 부(負)의 유산으로 기억된다.
김 전 대통령은 퇴임 후에도 PK(부산·경남)를 지역 기반으로 삼은 민주화 세력을 일컫는 ‘상도동계’의 영원한 리더로 오랫동안 현실 정치에서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평생 거르지 않다시피 한 새벽 조깅과 영문이니셜 애칭 ‘YS’는 그의 트레이드마크였다.
유족으로는 부인 손명순 여사와 딸 혜영(63), 혜정(61), 혜숙(54)씨, 아들 은철(59), 현철(56) 씨 등 2남 3녀가 있다.
장례식은 국가장으로 치러지며, 26일 오후 2시 국회의사당에서 영결식이 거행된다. 영결식 이후 김 전 대통령은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장군제3묘역 우측 능선에 마련된 묘역에서 영면에 들어간다.
한편 전북도는 23일 도청 공연장 1층에 분향소를 설치하고, 일반 도민들이 조문할 수 있도록 24시간 분향소를 개방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