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변경·인원 증원…사각지대 발굴·통합 관리
순창군이 2018년까지 맞춤형복지 서비스의 전읍·면 시행을 목표로 읍·면 복지허브화에 시동을 걸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읍·면 복지허브화는 읍·면의 사회기능을 현재보다 대폭 강화하기 새로운 시책이다.
군에 따르면 읍·면사무소의 조직명칭도 주민생활팀에서 맞춤형복지팀으로 바꾸고 사회복지사도 1~2명씩 증원할 계획이다
특히 군은 이 시책의 조기 정착을 위해 읍사무소는 올 하반기부터 시범 운영하며 읍사무소 맞춤형 복지팀은 기존 사회복지사 3명에서 5명으로 증원된다.
또 사회복지 근무 경험이 많은 직원을 배치해 복지사각지대 발굴과 찾아가는 복지상담, 통합사례관리와 민간협력활성화 및 자원관리 업무를 중점 추진할 수 있도록 조치했으며 사회복지사 2명은 맞춤형 복지업무를 전담한다.
이와 함께 군은 내년에는 규모가 크거나 저소득층 비율이 높은 3∼4개면에 맞춤형 복지팀을 신설할 계획이다.
읍·면·동 복지허브화는 폭발적 복지수요에 비해 각 읍·면 복지인력은 1~3명에 불과해 복지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빈곤위기 가정이 상존함에 따라 찾아오는 민원인의 신청을 처리하던 곳에서 위기 가정을 발굴하는 등 먼저 찾아가 대상자의 복지와 건강을 살피고 복지대상을 발굴하는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다.
이선효 군 주민행복과장은 “순창군은 제도를 빠른 시일 내에 추진해 소외된 이웃이 보다 따뜻한 복지를 누릴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순창군의 취약계층 인구는 약 64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2%를 차지하고 있어 복지허브화가 본격 추진될 경우 이들에 대한 복지가 대폭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