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학교·병원 등 급식소에 불량식품 납품 / 170억원 챙긴 19명 덜미 / 군산署 지능범죄 수사팀
‘사람·미래·건강을 책임지는 기업이 되겠습니다.’
모 축산물 제조·가공업체의 공식 인터넷 사이트에서 이 회사 대표가 한 인사말의 일부다. ‘우리의 꿈과 희망인 아이들에게 친환경 식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라는 내용도 포함됐다. 그러나 이 회사는 4년에 걸쳐 어린이집과 학교, 병원, 회사 등 수 천개의 급식소에 원재료를 속여 불량식품을 제조·유통한 사실이 경찰 수사 결과 드러났다.
군산경찰서 지능범죄수사팀은 지난 31일 초·중·고등학교와 병원, 회사 등 급식소 수 천곳에 300억원 상당의 불량식품을 공급해 170억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축산물위생관리법 등)로 모 축산물 제조·가공업체 대표 A씨 등 1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A씨 등은 지난 2013년 1월부터 올 초까지 전주 등 전북을 비롯해 전국 어린이집과 학교, 병원, 기업 등 7297개 급식소에 원재료가 배합되지 않은 동그랑땡과 떡갈비 등 55개 제품을 공급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기도에 본사를 둔 이 회사의 제품을 납품받은 급식소는 초·중·고등학교 4459개소, 어린이집 226개소, 병원·회사 단체 급식업소 2612개소 등으로 전북지역 학교와 병원도 상당수 포함됐다.
이들은 관할 시청에 제출한 품목 제조보고서와 다르게 함량을 속이거나 소·돼지육를 넣어야 할 품목에 닭 껍질 등 저가의 다른 원료를 사용해 생산단가를 줄여온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 결과 이 업체는 제품 포장지에 원재료를 사용한 것처럼 허위표시를 하고 실제 배합 리스트를 따로 관리해 제품을 제조하면서 관할 시청의 현장 감독에서는 원재료를 사용하는 것처럼 속여왔다.
또 전라권 등 전국 6개 권역에 영업사원과 홍보사원을 고용해 3달에 1번 경기도 본사 교육을 실시하는 등 치밀한 사업 확장 전략을 세우기도 했다.
특히 해당 업체 홈페이지 및 홍보용 팸플릿에 따르면 지난 2011년 11월 농림부 HACCP 인증과 2012년 1월 식약청 HACCP 인증을 각각 획득한 것으로 밝혀졌고, 친환경 급식지킴이 위촉, 모 자치단체 유망 중소기업상, 모 시의회 표창, 2015년 한국품질 경쟁력 대상을 수상한 사실도 확인됐다.
군산경찰서 여상봉 수사1과장은 “해당 업체가 사람이 먹을 수 없는 제품을 만들어 신체적 피해를 본 사례는 현재까지 없다”며 “관할 지자체와 식약처에 업체 관리·감독에 관한 제도개선과 행정처분을 요청했으며, 국민의 먹거리 안전을 위협하는 불량식품 제조업체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