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성추행 당한 뒤 NGO 꿈 접어"

도내 인권단체 활동가 피해자
“같은 소속 2명에게도 당해 진정성 있는 사과·처벌 원해”

▲ 지난 4일 전주 한 카페에서 본보 김보현 기자가 피해자 김모 씨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지난 2일 전북대학교 졸업생이 학교 강사로 만난 인권단체 활동가의 성추행을 폭로했다. 익명의 ‘미투(metoo, 나도 당했다)’였지만 기억은 선명했다. 피해자가 더 늘어나기 전, 사과와 처벌을 촉구하는 작성자를 직접 만났다.

“국제 NGO에서 일하기 위해 프랑스 유학까지 진행했어요. 하지만 그 사람들을 만난 이후 질려버려 꿈을 접었습니다. 이 바닥에선 편히 일할 수 없을 것 같았기 때문이죠.”

지난 4일 전주의 한 카페에서 김모 씨(29)가 심정을 밝혔다. 5년 전 김 씨가 꿈을 포기한 건, 좁은 지역에서 가해자의 얼굴을 볼 우려가 높았기 때문이다.

그는 “전북지역 인권 분야에서는 ‘탑’이라고 자평한 그들을 무조건 만날 것 같다. 꿈이고 뭐고, 이젠 인권활동가에게 환멸을 느낀다”고 했다.

▲ 2013년 김 씨의 다이어리에 4월 12일 ‘송광사’라고 적혀 있다.
▲ 2013년 김 씨의 다이어리에 4월 12일 ‘송광사’라고 적혀 있다.

2013년 사용했던 다이어리를 펼쳐 보였다. 4월 12일 ‘송광사’라고 적혀있었다. 김 씨는 “평소 손을 잡고 학교를 거니는 등 부적절한 만남을 유도했던 전북대학교 ‘인권의 이해’ 강사 J씨와 송광사를 간 날”이라고 밝혔다.

“당시 J씨는 아내에게는 사랑이 없다. ○○(김씨)이는 나랑 연예할까라고 물었어요. 또 어느 날 전주에서 민물새우를 먹다가 워크숍을 단둘이 가자. 방은 하나 잡고 내가 너 안아주면 되지라고 했어요.”

김 씨는 눈물을 글썽이며, NGO의 꿈을 위해 이같은 수모도 버텼다고 한다. 졸업을 앞두고도 밤에 불러내 인권단체의 일이라며 ‘정의구현사제단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같은 인권단체에 속한 두 명의 K씨도 수법은 비슷했다. 김 씨는 2009년 전북대학교 ‘비판적사고와 논리’ 강사 K씨를 만났는데, 2013년 J씨의 소개로 찾은 인권단체에서 또 만났다. 김 씨는 K씨가 손을 잡으며 “연애하는 기분이 든다”는 말을 내뱉었다고 했다. 심지어 그는 저녁자리에서 소주를 먹고 가게맥주집을 거쳐, 3차는 자신의 집으로 가기를 강권했다는 게 김 씨의 기억이다.

그는 이 단체 소속 또 다른 K씨에 대해서도 “나를 계속 쳐다보면서 손등을 만졌다. 또 나를 집요하게 밖으로 불러냈다”고 했다.

다이어리에 적힌 2013년 3~4월의 기억. 김 씨는 당시 충격으로 J씨 수업과 인권단체에 발길을 끊었다. 그러자 J씨는 “내가 너 성적 뭐 줬을 것 같냐”고 전화로 협박했다. 김 씨는 “규정에 따라 12시간을 빠지면 F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나는 연락을 끊은 5월부터 J씨 수업에 나가지 않았는데, 어떤 의도인지 모르겠지만 최고 성적을 줬다”고 했다.

현재 심정과 향후 계획에 대해서 그는 단호했다. “ ‘왜 차를 마시고 술을 같이 마셨냐’며 ‘미투’를 혐오하는 분위기를 일부 느낍니다. 이는 너무 잘못된 상황인 것 같습니다. J씨와 두 K씨는 꿈을 짓밟았습니다. 그들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상응하는 처벌이 필요하고, 이를 강력히 요구할 것입니다. 안 그러면 피해자는 더 생길 테니까요.”

5일 전주 덕진경찰서는 이 사건과 관련, 피해자 조사에 나섰다. 전북대 관계자는 “J씨 등은 현재 대학에서 수업하지 않는다”면서, “대학가 미투 사태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남승현·김보현 기자>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주‘전주 실외 인라인롤러경기장’ 시설 개선…60억 투입

영화·연극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공모 시작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