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학생들, 경찰 신고·국민청원도 올라와
익산경찰 조사 중·시청 TF팀 꾸려 종합지원
익산 원광대 일대 대규모 원룸 사기 사건이 발생해 파장이 커지고 있다. 피해자는 대부분 대학생·취업준비생인데, 익산시 등에 따르면 추정 피해 인원만 120여 명, 피해액은 약 60억 원이다.
사건의 시작은 2월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북일보가 인터뷰한 피해자 A씨(원광대 재학생)는 “원룸 계약이 만기돼서 방을 빼고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으려 원룸주인 B씨에게 수차례 연락했지만 연결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전세 보증금은 5000만 원이었다.
A씨는 “주변에 수소문해보니 새 학기 앞두고 나와 비슷한 피해를 입은 사람이 있다는 걸 알게 됐다”며 “학교 자유게시판이나 각 학과 휴대폰 단체 대화방 등에 피해의심 글들이 올라오면서 피해자들끼리 뭉치게 됐다”고 말했다.
학과별로 피해 논란이 확산되자 지난 3월 중순 학교 학생회 등 학생단체가 나서 온라인 공지글을 올리고 피해 사례를 수집했다. 이들은 A씨 등 피해자들로 구성된 단체 대화방을 만들어 원룸 사기 수법과 피해 금액 등을 취합했다.
피해규모를 취합한 원광대 학생회 임원은 “대학가에서 대규모 원룸 사업을 하고 있는 B씨에게 개별 임대계약을 맺고 피해를 입었다”며 “피해를 입은 방식은 다양하다”고 말했다.
A씨처럼 전세금을 받지 못한 경우나 아니면 계약기간이 거의 끝났지만 B씨가 잠적해 전세금 환수 여부가 불투명한 경우가 많았다. 세입자들이 모른 채 건물이 임의경매에 들어간 경우도 있었다. 원룸 건물 1개당 최소 10명~15명 정도 입주해 있는데, 15개소에서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세입자들은 매달 관리비를 납부했지만 실제로는 건물의 전기·수도·가스·인터넷 사용요금이 미납돼, 이 역시 사기피해액으로 집계됐다.
피해자들은 지난 3월말 이같은 내용을 담은 고소장을 익산경찰서에 제출했다.
경찰은 현재 피해 학생 120여 명 중 60여 명을 조사했으며,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확인하고 있다.
경찰 수사가 진행되자 원룸 사기 가해자인 B씨는 지난 6일 뒤늦게 세입자(피해 학생)에게 문자를 보냈다. 문자에는 “신축원룸과 기업형 임대주택 오피스텔 등으로 유지가 너무 힘든 상황이었다. 차용증을 써주든 차차 돈을 구하든 해서 보증금 전부 내주겠다”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익산시도 사안이 커지자 서둘러 대책마련에 나섰다. 부서별 TF팀을 구성하고 원광대·유관기관과 특별대책을 논의한다. 전기·수도·가스 요금체납으로 인한 공급중단을 막고, 원광대 법학전문 교수 및 익산시 변호사협회를 통해 법률적 자문을 지원한다.
한편, 지난 5일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는 해당사건에 대한 경찰·자치단체 등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하는 청원글이 올라왔다.‘익산 전세 사기 사건’을 제목으로 한 글은 7일 오후 6시 기준 2700여 명이 공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