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존중 사회는 정부 핵심 국정기조”
“노동계, 투쟁 아닌 상생으로 존중 찾아야”
문재인 대통령은 1일 노동절을 맞아 “노동이 자랑스러운 나라를 만들고 싶다”는 노동절 메시지를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 계정에 “노동은 인류의 문명을 만들었고, 또한 대한민국 발전을 이끌었다. 노동은 그에 걸맞은 대접을 받아야 한다”며 이같이 언급한 뒤 “‘노동존중 사회’는 우리 정부의 핵심 국정기조”라고 밝혔다.
이어 “최저임금 인상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주 52시간 근로제 등 현 정부의 노동정책을 언급하면서 “정부 정책만으로 하루아침에 사회가 달라질 순 없겠지만, 산업안전보건법의 개정은 노동자의 안전과 건강을 높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노사정이 함께 하는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조속한 정상화로 좋은 결실을 이뤄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노동계 또한 우리 사회의 주류라는 자세로 함께해 주시기 바란다”며 “과거 기울어진 세상에서 노동이 ‘투쟁’으로 존중을 찾았다면, 앞으로의 세상에서 노동은 ‘상생’으로 존중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날 개관식이 열렸던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기념관’에 대해선 “격세지감을 느낀다. 전태일이라는 이름을 남몰래 부르던 시절을 지나 우리는 아이들 손을 잡고 노동의 숭고함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더불어 “노동으로 꿈을 이루고, 노동으로 세계를 발전시키고, 노동으로 존경받을 수 있는 나라를 이뤄내고 싶다”며 “숙련공·기능공·마스터들이 우리 일터 곳곳에서, 또는 사회 곳곳에서 주역으로 대접받는 모습을 보고 싶다”고 재차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