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은 침출수와 악취 민원이 발생한 비봉면 보은매립장과 관련, “추진 중인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협의체를 구성해 피해를 최소화 하겠다”고 밝혔다. (2월 27일자 8면 보도)
완주군은 지난달 31일 출입기자 간담회를 갖고 “오는 7월 중순께 매립장 관리방안 용역이 나오는 만큼 군의회와 공무원, 전문가, 주민이 참여하는 대책위를 만들어 운영할 계획”이라며 “완벽한 오염수 차집시설 설치 등 장기적으로 매립장 폐기물처리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고 했다.
강신영 환경과장은 “문제가 된 보은매립장은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에 따라 침출수로 인한 주변 환경오염이 없다고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이른바 ‘예외적 매립시설”이라며 “지난 2014년 4월 허가한 이후 그동안 지질 물리탐사 실시, 기술진단 용역, 사후관리 이행 명령, 오염수 임시차집관로 설치, 사업자 고발 등 행정대응에 적극 나섰지만 결과적으로 관리가 미흡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또 “오염수 차집시설 등 시설이 완비되더라도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전문기관에 사후관리를 맡길 예정”이라며 “현장 시추 결과 유해물질을 발견할 경우 관련법과 원칙에 따라 대책을 강도 높게 추진하고 이 문제가 완벽하고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악취와 침출수 때문에 지역주민 민원 대상이 된 완주군 비봉면 백도리 소재 보은매립장은 45만9000여 톤을 매립할 수 있는 예외적 매립시설이지만, 매립 신고된 폐석분보다 훨씬 많은 양의 고화토가 복토제로 사용되면서 ’불법폐기물 매립’ 의혹이 제기돼 있다.
완주군은 그동안 매립장에 대한 지질 물리탐사, 사후관리 이행명령과 주민설명회 개최, 전기 비저항 탐사용역 발주, 오염수 임시차집관로 설치, 사업자 고발조치 등을 했다. 매립장 관리방안 용역은 7월 12일 끝나며, 군은 이를 바탕으로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