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 메시지 “목숨으로 지킨 한글, 새나라 마중물 돼”
문재인 대통령은 한글날인 9일 “3·1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에 맞는 뜻깊은 한글날”이라며 “573년 전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애민정신과 일제강점기 한글을 지켜낸 독립운동가들의 민족정신을 되새긴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한글날 문재인 대통령이 전하는 말’이란 메시지에서 “일제강점기에는 한글을 지키는 것이 곧 독립운동이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주시경 선생과 조선어연구회 선각자들은 고문과 옥살이를 감수하며 한글을 연구했고 끝내 1947년 ‘우리말큰사전’을 편찬했다”면서 “머리말에 ‘말은 사람의 특징이요, 겨레의 보람이요, 문화의 표상이다’라고 적었다”고 전했다.
이어 “한글만이 우리의 생각을 온전히 담아낼 수 있다”며 “김소월의 ‘진달래꽃’, 윤동주의 ‘별 헤는 밤’, 방정환 선생의 순수아동잡지 ‘어린이’, 항일 언론 ‘대한매일신보’는 순 우리글로 쓰였다”고 했다.
특히 “1945년 무려 78%였던 문맹률은 13년이 지난 1958년 4.1%로 줄었고 글을 깨친 힘으로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끌 수 있었다”며 “국어학자들이 목숨으로 지킨 한글이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마중물이 되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한 “한글이 대한민국이고, 한글이 우리를 세계와 연결한다”며 “간도, 연해주, 중앙아시아, 하와이를 비롯해 우리 민족이 새로 터를 잡은 곳에서는 어디든지 학교부터 세워 한글을 가르쳤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아이들은 ‘엄마’, ‘아빠’ 우리말로 세상과 처음 만난다”면서 “우리 역사와 우리 것에 대한 소중함, 미래의 희망이 한글에 담겨 있다”고 말했다.
이날 문 대통령의 메시지는 주시경 선생의 글꼴로 남겼다. ‘주시경체’는 한국교육방송공사가 한글학회로부터 주시경 선생의 ‘국어문법’ 육필본 원본자료를 받아 제작한 서체로, 무료로 배포되고 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