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도심 중앙 방치된 대한방직 부지 개발방안 논의 시동
사유지에 대한 공론화 이례적 “시민 생활 큰 영향” 판단
찬반 논란 속 시민의견 적극 활용, 김승수 시장 정치적 부담 덜어
3월부터 내년 말까지 공론화위원회 통한 최적의 방안을 찾을 계획
전주시가 “대한방직 부지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며 개발방안 논의에 시동을 걸었다. 논의에 필요한 1억8000만원의 예산도 편성했다.
대한방직 부지에 143층 높이의 익스트림타워를 포함한 ㈜자광의 개발계획에 대해 전주시는 첫 번째 ‘수용불가’, 두 번째와 세 번째 정책제안에 대해선 그동안 입을 꽉 다물었다.
이랬던 전주시가 내달 공론화 준비위원회 발족을 시작으로 개발방안에 대한 본격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신도심 중앙에 흉물로 방치된 대한방직 부지를 더 이상 그냥 둘 수 없다는 판단아래 그동안 제기된 특혜의혹을 종식하고, 각계 전문가와 시민 의견을 물어 최적의 개발방안을 담아내겠다는 구상이다.
찬반이 갈리는 개발에 대한 공론화 진행은 김승수 시장의 정치적 부담도 덜어줄 묘안이다.
조만간 꾸려질 공론화 준비위는 전문가와 시의원, 공무원, 언론인, 시민단체 대표들로 5명 내외로 구성된다. 이들은 공론화위원회를 어떻게 구성하고, 어떤 논의를 해야 하는지 등의 가이드라인을 내년 2월까지 만들게 된다.
25명 규모로 예상되는 공론화위원회는 대한방직 소유자인 ㈜자광이 제출한 ‘전주타워복합개발’에 대한 적정성과 특혜 의혹 해소, 적절한 개발방안 등의 논의가 핵심이 될 전망이다.
공론화위원회나 전주시가 아무리 최적의 개발방향을 제시하더라도 소유주가 수용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논의를 진행한 셈이기 때문이다.
토지소유자인 ㈜자광은 지난해 11월 전주시에 일부 도유지와 시유지를 포함한 총 23만565㎡부지에 60층 이하의 공동주택 3000세대와 복합쇼핑몰, 430m 높이의 익스트림타워, 호텔, 문화시설 등을 건립하겠다는 정책제안서를 제출했다.
이를 위해선 현재 공업·녹지지역의 토지용도를 상업지역으로 변경해야 하는데 이를 둘러싼 특혜논란이 불가피하다.
자광은 특혜논란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도로와 공원 등 공공용지를 늘려 기부채납하고, 전주시가 필요한 750억원 규모의 공공시설을 건립해주겠다는 계획을 수립해 전주시에 제출했다.
또한 1만7000㎡규모의 복합문화센터도 건립해 전주시에 기부하겠다는 계획이다.
공론화위원회는 이런 방식에 대한 적정성과 자광이 제출한 개발계획이 적절한지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공론화위원회는 사전회의와 시민여론조사를 포함한 1차 시민의견수렴, 심층토론회 개최, 2차 여론조사와 시민의견수렴을 거쳐 최종 정책방향을 도출하게 된다.
공론화위원회는 내년 3월부터 내년 말까지 활동하게 된다.
공론화위원회에서 개발계획이 수립되더라도 최종 결정은 전주시가 하게 된다.
공론화위원회 최종 의견은 전주시의 정책결정에 참고용으로만 활용된다.
최무결 전주시 생태도시국장은 “대한방직 부지를 그냥 둘 수 없다. 공론화위원회를 통해 공정한 논의와 올바른 방향을 정립해 나가겠다”며 “사회적 갈등 최소화, 특혜 논란 차단 등 공론화위원회가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