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불편사항 개선한 한국형 청소차량 제작
도내 군산·익산·남원 등에 고작 5대 뿐
지자체 “높은 가격, 기존 차량보다 불편 등 고민”
미화원 “정부 차원에서 보급 확산 도움 줘야”
환경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청소차량 도입’이 더디게 추진되면서 환경미화원의 근무환경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17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도내 생활폐기물 수집 운반 차량은 지난해 12월 기준 모두 609대에 달하지만 이 중 한국형 청소차량은 5대 뿐이다.
한국형 청소차량 도입은 환경부가 환경미화원들의 근무환경을 고려해 직접 설계해 지자체에 도입을 권고하는 사업이다.
이 차량은 기존 차량 뒤에 매달려 위험하게 수거하는 방식이 아닌 운전석과 쓰레기 저장소 사이에 별도의 승차 공간을 만든 것이 특징이다.
추가 공간확보와 함께 저상형으로 만들어 오르고 내리는 불편도 완화했다.
환경미화원들은 승차실 안에 대기하면서 기존의 환경미화 업무를 볼 수 있다.
이런 개선 사항이 담겨 긍정적인 평가를 받던 한국형 청소차량은 도입 2년이 지났지만 도내 도입은 더디기만 하다. 현재 도내에는 군산과 익산이 각 1대, 남원 2대 등 5대가 운행되고 있을 뿐이다.
한국형 청소차량이 빠르게 도입되지 않는 것은 현장에서 발생되는 여러 문제들 때문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기존 청소차량(5t)보다 크다 보니 원룸촌과 같은 곳을 진입하기 어렵고 가격도 1억 3000만원 이상 되다 보니 비싸다”며 “여러 문제로 도입이 더디게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비싼 가격과 좁은 길을 진입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환경미화원들의 근무환경 개선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환경미화원의 안전을 위해 정부가 개발한 만큼 도입 확대에 대한 지원 및 권고 등 정부 관심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개발된 한국형 청소차량에 대해 재원 등을 공개했다”면서 “청소 관련 업무는 지자체 고유 영역이기 때문에 권고에 그칠수 밖에 없다. 환경미화원이 안전하게 근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독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