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보육 혼란, 상권 반발, 봉사단 업무 중단 등 후폭풍 재연 분위기
지역사회 경제 또 날벼락, 전주시가 2단계 격상 고민한 것도 이 탓
기존 포스트코로나 대책 적극 병행해 피해 최소화 필요
코로나19 급증에 전북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가 확산하면서 이에 따른 지역사회 후유증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세밀한 행정 예방책이 요구된다.
2단계 격상 결정을 한 전주지역은 어린이집·복지관 등 공공시설과 노래연습장·헬스장·PC방 등 민간 고위험시설이 모두 잠정 운영을 중단한다. 익산·군산도 공공시설을 모두 폐쇄하고 민간 고위험시설은 운영 중단을 권고했다.
이에 보육·교육·상권·수해복구 등 지역사회 곳곳에서 후속 혼란과 피해가 발생하며 앞서 겪었던 코로나19 방역 후폭풍이 재연되는 분위기다.
신천지발(發) 감염사태 이후 재휴원하는 어린이집은 긴급돌봄을 지원하지만, 상당수 학부모들은 불안감에 여전히 가정 양육을 고수하고 있다. 맞벌이 부모들은 또다시 한숨이 깊어졌다.
학부모 A(36·전주 인후동)씨는 “코로나로 식당 폐업한 후 이제 겨우 안정돼 단기일자리를 나가고 있는데 휴원 공문을 받았다”며 “코로나 때문에 외부 활동·강사 초빙이나 친구들과 놀이도 못 하는데 일을 그만두고 차라리 안전하게 집에서 돌봐야 할지 고민이다”고 말했다.
소상공인·외식업계 등 상인들은 지역경제가 또 날벼락을 맞았다며 망연자실한 상황이다.
영업 중지뿐만 아니라 확진자 발생·동선에 따라 고객 발길이 끊겨 생계에 또다시 위협을 받고 있는 데다, 밀접접촉을 막기 위한 취지의 시설 폐쇄에도 불구하고 카페 등은 영업을 하고 있어 고위험시설 기준에 대한 불만도 속출하고 있다.
여전히 진행중인 남원, 순창 등 수해복구 현장도 비상이다. 전주시자원봉사센터 등 자치단체·민간 봉사단체의 활동이 중단되면서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앞서 행정에서도 이를 우려해 방역단계 격상을 고민해왔다.
전주시는 지난 21일부터 시 공공시설을 전면 폐쇄하고 시 주관행사를 전면 중단하는 등 공공부문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로 적용해왔지만, 지역경제가 다시 곤두박질 칠 것을 우려해 민간시설은 폐쇄대신 방역강화 지침을 밝혔다. 그러나 연일 늘어나는 코로나19 확진자에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을 결정했다.
이에 자치단체에서 이번 코로나 피해 예상 규모를 파악해 포스트코로나 대책이 선제적으로 병행돼 피해 최소화가 요구된다.
전주시 관계자는 “방역이 지역사회·경제를 살리는 첫걸음이라고 판단해 결단했다”며 “코로나19로 인한 가정·지역사회 붕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다각도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