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5일까지 전주현대미술관, 생명 주제 평면·입체 작품 눈길
아들 이강산 큐레이션… “아버지 시간 아까워, 창작 환경 최적화”
“아들이자 기획자로서 시간이 너무 아까워요. 아버지는 나이가 드시니까요. 주어진 시간을 오롯이 작품 활동하는 데 쓰셨으면 해요.”
이강산 작가는 아버지이자 선배 화가인 이동근 작가의 시간이 아깝기만 하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유한하기에, 아들은 아버지에게 ‘그림 그리는 시간’을 선물하고 싶다고 했다. 이강산 작가가 이동근 화백의 개인전의 큐레이션을 맡은 것도 그러한 이유에서다. “70년을 살아오면서 50년 이상을 작업에 몰두한 아버지에게 이번 전시를 헌정한다”는 그의 말에 애틋함이 묻어난다.
‘생명_A Life’를 주제로 한 이번 전시는 9년 만에 전주에서 열리는 개인전으로 이동근 화백의 변화와 진화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이다. 그는 제주대 교수로 부임하면서 사실적인 화풍에 매료됐고, 이와 같은 성향은 2000년대 중반까지 이어졌다. 이후부터는 ‘생명’을 주제로 한 목가적이면서 우화적인 작품이 주를 이룬다. 작업실이 있는 정읍시 칠보면의 생활, 자연환경이 그대로 작품에 투영된 셈이다.
이 화백은 “17년이란 세월이 흐르니 그림에 자연스럽게 변화가 생겼다. 그림이란 보고 그리는 것이 아닌, 작가가 재구성해 다시 태어나게 만드는 것이라는 걸 느꼈다”며 “이번 작품들은 비닐하우스, 감나무, 나팔꽃, 올챙이 등 작업실 주변 환경에서 소재를 이끌어냈다. 즉 나를 둘러싼 환경이 그림에 우러나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머릿속에 남는 그림을 그리고 싶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 세계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표현하는 방식의 확장도 주목할 만하다. 그는 빗살무늬 기법으로 색감을, 마스킹 테이프를 붙였다 떼는 방식으로 여백을 표현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평면 표현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입체 작품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이는 재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구현하는 그의 변화와 시도의 증명과도 같다. 오브제는 호미. 그림자는 마치 새를 연상케 한다. 그는 “애착이 가는 작품”이라며 “결국 흙에서 흙으로 돌아가는 것이 인생이 아닐까 한다”고 말했다.
최병길 미술평론가(원광대 교수)는 “이동근 화가의 작품은 대자연과의 명상과 음유가 탄생시킨 사물들의 우화적 표현이 엿보이는 작품”이라며 “생명이라는 전제를 통해 음양의 세계를 대립적 관계가 아닌 조화와 융합의 세계로 격상시키면서, 작가와 주변의 모든 관계조차도 조화로움으로 승화시키고 있다”라고 평하기도 했다.
이번 전시를 총괄 기획한 이강산 작가는 “아버지는 나만의 비평가”라며 “앞으로도 기획, 홍보 등 전시에 수반되는 행정적 업무를 책임짐으로써 아버지에게 최적의 창작 환경을 제공하고 싶다. 이 작품들을 콘텐츠 삼아 플랫폼을 구축하고, 다양한 가치로 환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전북대에서 미술학 박사를 받고 한국화가이자 독립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이동근 화백은 1969년 전북미술대전에 고교 3학년 재학생 신분으로 입선하며, 화단에 발을 디뎠다. 원광대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1기생으로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제주대 미술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2019년 목정문화상을 수상한 바 있다.
전시는 다음 달 5일까지 전주현대미술관에서 계속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