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담댐 건설에 따른 실향의 아픔을 겪고 수질 보전을 위한 갖가지 생활 규제를 받고 있는 진안지역이 지난달 23일 환경부 등 7개 관계기관이 체결한 ‘만경강살리기 협약’에서 제외되자 “말도 안 된다”는 비판이 지역사회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지난달 23일 환경부와 전북도는 물론 만경강 유역 시·군 등 7개 관계 기관은 금강 상류의 용담댐 물을 만경강으로 끌어가 생활 및 공업 용수로 활용하고 수질까지 살리겠다는 이른바 ‘만경강 살리기 협약’을 체결하면서 진안군을 제외시켰다.
이를 두고 용담댐 물을 활용한 협약에서 ‘물 생산지’인 진안지역이 빠져버린 것은 있을 수 없다는 주장이 거세다.
진안지역은 용담댐 건설 시 수몰 실향민이 발생하면서 전체 인구의 30%가량이 유출, 군세가 현저히 약화됐다. 댐 완공 후에는 전북과 충남 지역 150만 주민의 상수원이 되면서 재산권 행사에 크게 제약을 받아 왔다. 이는 지역경제의 필연적 침체로 이어졌다.
이뿐 아니다. 수질 보전에 따른 이런저런 규제를 받아온 진안지역 주민들은 정작 광역상수원으로 공급되는 용담댐 물(1급수)을 17년가량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에 있었다. 진안지역에 용담댐 물이 공급된 것은 불과 4년 전이었고 현재 군민 49%밖에 이 물을 공급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사정에 관심이 높은 주민 A씨는 “한 마디로 댐 건설 후 각종 규제 등으로 크고 작은 피해를 보면서도 정작 그 혜택에서는 완전히 소외됐다”며 “만경강 유역을 위한 용담댐 용수 활용 방안에 물 생산지인 진안지역을 제외시킨 것은 말도 안 되고 주객이 전도된 일”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주민 B씨는 “용담댐을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용담댐 취수로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는 진안지역과 그 용수를 꿀물처럼 활용하는 수혜 지역 간에 확실한 교류 채널을 마련해야 한다”며 “다양한 방식의 협력과 적정한 지원이 이루져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31.4㎢ 면적에 8억 1500만톤의 담수 능력으로 준공된 용담댐은 1만 2616명의 실향민을 발생시키면서 2001년 10월 13일 준공됐다.
그 후 진안군은 용담호 수질개선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왔고 지역주민들은 용담호 수질개선을 위한 규제로 여러 가지 불편을 감내해 왔다. 지역주민들은 지난 2005년부터 17년 동안 한마음으로 수질자율관리체제를 유지하면서 현재 국내 최고 수질의 물을 보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