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18:38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일반
자체기사

14년째 장기집권했는데…전북 어린이예술단 지휘자 공모 '잡음'

14년 동안 타 지역 출신 지휘자, 형식적인 채용 공고 우려
전북도 "전국 국악 지휘자 인력 한계… 공정한 심사 할 것"

image
전북도청 전경

예술혼의 전승과 음악 예술에 대한 저변확대 및 지역 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전북 어린이예술단 지휘자’ 채용 공고와 관련해 잡음이 일고 있다.

전북도 문화산업과는 지난 5일 도청 홈페이지 게시판을 통해 ‘2023 전북 어린이 예술단 지휘자 공개모집’을 밝혔다.

문제는 지난 2004년 창단된 어린이국악관현악단의 지휘자 자리에 2009년부터 약 14년 동안 타 지역 출신의 지휘자 A씨의 장기 집권이 이뤄지고 있어 올해 역시 형식적인 공고가 되지 않겠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과거 어린이예술단에 몸담았던 학생의 보호자인 일부 학부모들은 특정 지휘자를 염두에 둔 조례안 개정을 우려했다. 

실제 지난 2011년 개정된 전라북도어린이예술단 설치 및 운영 조례 사항 중 '지도교사와 지휘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한 번만 연임을 할 수 있다. 연임 이후 공개 모집을 통해 위촉될 시 연임으로 보지 아니한다'고 명시돼 있다.

학부모 A씨는 “최근까지 타 지역에서 상임지휘자를 맡고 있던 특정 지휘자 한 사람이 어떻게 오랜 시간 동안 지휘자 자리를 연속해서 맡을 수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전북 어린이예술단 설치 및 운영 조례 사항을 보면 현 지휘자가 어린이국악관현악단에 재직하고 있었던 2011년 운영 조례가 다수 개정된 것으로 확인된다. 혹시 현 지휘자의 장기 집권을 계획한 건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학부모 B씨는 “지역출신 지휘자 부재의 문제점이 있는 것도 아니고 지역인재의 육성과 발굴을 중요시하는 현 시점에서 굳이 타 지역 출신 지휘자가 장기간 역할을 이어가는 건 문제점으로 인식된다”면서 “지난 10여 년 동안 아이들이 예술단에서 배우는 연주 등 커리큘럼이 부실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매년 이뤄지는 정기연주회만 봐도 같은 곡 5~6개의 노래가 반복되는 등 예술단에 있는 아이들은 항상 같은 노래만 연습하는 구조였다”고 부연했다.

이에 대해 전북도 문화산업과 관계자는 “어린 아이들의 천차만별인 실력으로 처음부터 합주를 맞추기 어려운 상황이었다"며 "서양 악기처럼 학원이 없어 기초적인 부분부터 시작하는 아이들의 수준에 맞는 곡을 선발하다 보니 곡 선정이 다양하지 못한 점은 인정한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전국에서 국악 지휘자의 인력이 30명 이내로 구성돼 있어 전북지역 관내에서 실력자를 찾기에 한계가 있다”며 “하지만 아이들을 지도하는 교사는 지역 인재들로 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무엇보다 지휘자는 실력에 초점을 두며 공정한 심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2023 전북어린이 예술단 지휘자’ 공고는 19일 마감되며 전문가 심의는 오는 26일 오후 3시로 예정돼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어린이예술단 #지휘자 #어린이국악관현악단 #장기집권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