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영상 생태계 기반 마련 사업 폐지, 국내·국제 영화제 지원예산 반토막
지역 영화인들 "현재 위기 극복할 수 있도록 지자체 도움 절실" 한 목소리
올해 정부 예산에서 지역 영화 지원금이 대폭 삭감되면서 영화산업 위축이 우려되고 있다.
전북도와 전주시의 영화제 지원금도 들쑥날쑥한 상황에서 정부 예산 마저 반토막이 나는 등 도내 영화인들에게 혹독한 시련도 예상된다.
11일 영화진흥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올해 지역 영화사업 관련 정부 예산이 대폭 삭감됐다.
12억 원이 책정됐던 지역 영상 생태계 기반 마련 사업은 아예 폐지됐고, 국내 및 국제영화제 지원 예산도 52억 원에서 25억 원으로 무려 27억 원이 줄었다.
해마다 예산이 지원되던 국내·국제영화제도 40여 개에서 10여 개 안팎으로 대폭 축소될 위기에 놓였다.
상황이 이러자 전북지역 영화인들은 현재 위기를 극복할 해결책으로 지자체 도움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팬데믹 여파와 미디어 변화로 지역 영화계에 경고등이 켜진 데다, 상대적으로 지원 의존도가 높은 영화산업이 자생적 구조를 구축한다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전북 독립영화협회 박영완 이사는 “(지역 영화계가) 지원금에 의존해 활동한다는 게 올바른 그림은 아니다”라면서도 “현재 위축된 지역 영화계가 되살아나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현실은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전북도와 전주시가 지역 영화인들의 창작 활동 등을 돕고자 영화 영상 제작 기지화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자체에 배정되는 예산도 10%가량 줄면서 별도의 지원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영화인들의 창작활동은 순수 예술과는 다르게 금액의 규모가 매우 커 직접적인 제작 지원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다행스럽게 지역에서 열리는 영화제 예산은 큰 타격이 없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지역 영화계가 쓰러지면 영화산업의 공적 기능이 위축되는 만큼, 자본에 얽매이지 않는 독립성을 모토로 전북만의 생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한다. 전북도와 전주시 등 지자체와 전주국제영화제, 전주영상위원회 같은 영화 기관에서 함께 목소리를 내줘야 한다는 것이다.
김형준 도킹텍 프로젝트 협동조합 이사장은 “그동안 영화산업의 수도권 쏠림 현상에서 비롯된 기형적 산업구조가 지역 영화산업 발전의 저해 요소로 꼽혀왔다”며 “전북은 이와 달리 독립성을 모토로 한 전주국제영화제를 주축으로 영화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왔다”고 했다. 그러면서 “수도권과 지역이 똑같은 산업 환경을 구축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현장의 목소리는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예산이 삭감돼 안타깝다”며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지역 영화인들이 지혜를 모아 전북 영화계 내실을 다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주대학교 한승룡 영화방송학과 교수는 "어려운 영화 환경 속에서 예산을 되찾으려는 노력도 필요하지만, 전라북도를 비롯해 전주시 등 지자체에서 지원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도 고민해 볼 만하다"며 "전주국제영화제를 비롯해 전주영상위원회 등 영화 관련 기관에서 지자체를 설득해 지역 영화인들의 환경 개선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