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6:46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오피니언

한빛원전의 그늘

image
일러스트/정윤성

한빛원전은 서해안에서 노을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고창 해리면 노을대교 예정지와 영광군 백수해안도로 앞바다 사이에 위치해 있다. 영광 굴비 주산지로 이름값을 올린 법성포와 청보리밭 축제로 알려진 학원농장이 인근에 있다. 풍천장어로 소문이 자자한 선운사 일대도 그리 멀지 않다. 이렇게 관광지로 둘러싸인 이곳 원전 4호기 재가동이 5년 7개월 만에 결정되며 안전성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문제 핵심은 주민들의 안전성 검증이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다시 가동한다는 점이다. 2017년 이 시설 일부에서 심각한 결함이 발견된 뒤 멈춰선 데다 문재인 정부 탈원전 여파로 가동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였다. 더욱이 주민들의 안전과 직결되는 데도 이들의 의견 수렴은 아랑곳하지 않고 현 정부 원전 드라이브 기조에만 입맛을 맞춘다는 것이다. 

이 원전은 행정구역상 전남이지만 실제 전북 고창군과 접해 있고 부안군도 지척이다. 이런 지리적 여건 때문에 1981년 원전 첫 삽을 뜰 때도 “모든 혜택은 영광군이 독점한 반면 전북은 피해만 고스란히 떠안는 꼴” 이라며 지역이 술렁였다. 2003년 부안 위도 방폐장 유치 때는 상황이 정반대로 바뀌었다. 영광 군민들이 “어차피 사고가 발생하면 영광 부안 고창군 모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게 되는데 그럴 바엔 차라리 우리가 먼저 나서야 했는데 부안군에 열매를 다 빼앗겼다” 며 억울해 했다.

예상대로 한빛원전 유치의 달콤함은 영광군이 독차지한다. 원전에서 나오는 각종 지원금의 86%를 영광이 가져간 데 반해 고창군은 14% 안팎이 고작이다. 방사선 발생 리스크는 엇비슷한 상황에서 지원금이 영광군에만 편중된 셈이다. 원전 소재지 영광군 홍농읍은 원래 바닷가 근처지만 인근 법성포처럼 고깃배가 드나드는 어항이 아니다. 그렇다고 특별한 수익 구조가 있는 그런 마을도 아닌 평범한 농촌이었다. 진통 끝에 원전이 들어서면서 마을 분위기가 180도 달라졌다. 무엇보다 지역 상생사업 일환으로 그 지역 젊은 층이 원전에 다수 취업하며 일자리 창출 효과가 일어났다. 더 나아가 마을 주민과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협력사업이 늘고 상권이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심지어 젊은 남녀가 결혼을 통해 이 회사 직원 가족이 되면서 유대 관계는 한층 돈독해지기도 했다. 

한빛원전 4호기 재가동에 따른 불안감은 최대 수혜자 영광군뿐 아니라 전북 지역 자치단체도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모양새다. 이같은 역학 관계 속에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를 위한 여론 수렴 등 지원을 담당하는 통합 기구의 편파적 운영이 갈등을 부채질한다는 지적이다. 민간환경감시기구만 해도 위원장 포함 17명이 영광군 몫인데 고창군은 겨우 2명에 불과해 지역별 형평성이 심각하다. 탈원전을 둘러싼 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5년 만에 뒤바뀐 정부 에너지 정책 기조에 따라 춤추는 것도 좋지만 결코 간과해선 안될 것이 안전성 검증이다. 고창군 부안군 정읍시는 물론 영광군 의회까지 나서 이번 재가동을 반대하는 결정적 이유다. 김영곤 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빛원전 #안전성 검증 소홀
김영곤 kyg@jjan.co.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