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1.72% 하락한 3386.05포인트로 마감했다.
코스피지수는 사상 최고점을 경신한 후 차익실현 압력이 커지면서 다시 3300포인트선으로 복귀하는 등 큰 변동성을 보인 한주였다.
26일 하루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이 1조원 넘게 순매도하며 지수가 2.45% 크게 하락세를 보였다.
지수의 조정은 한미 간 관세 협상이 난항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선반영 된 결과로 판단된다. 만일 협상이 결렬되고 미국이 고관세 정책을 강행할 경우 주가 약세가 장기화될 수 있는 상황이다.
다만 다음달 APEC회의 개최와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확대 등을 고려할 때 최악의 시나리오로 전개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이번 주는 연휴 전 수급 공백과 차익실현 매물이 맞물리면서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현재 미국 경기 호조를 나타내는 지표들이 연이어 발표되면서 연준의 연내 추가 금리인하 전망이 후퇴한 점도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 2분기 GDP 성장률은 2년 이내 최고치를 기록했고,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다.
여기에 8월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하면서 1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코스피지수 3400포인트선 이상에서는 리스크 관리가 중요해 보인다.
연휴 전 리스크를 선반영한 조정이 나온다면 3200포인트대부터 저평가 업종을 중심의 순환매, 저가매수 대응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추석 연휴 이후부터 실적 시즌에 돌입한다.
3분기 합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76조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업종 및 종목별 실적 차별화가 전망되며 이익 모멘텀이 긍정적인 업종인 디스플레이, 조선, 반도체, 방산, 유틸리티, 증권, 엔터 업종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