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목대] 안미경중과 전북책략
 강대국 틈바구니에 끼어있는 대한민국은 판단 한번만 잘못하면 백성들이 죽어나가고 나라가 거덜나기 일쑤였다. 특히 중국이나 일본이 내부갈등으로 분열돼 있을 때는 한반도는 잠시 평화를 유지할 수 있었으나, 대륙이나 섬이 통일되면 곧바로 이 땅은 가혹한 침탈의 대상이 되곤했다. 한번 피눈물을 흘렸으면 만사불여튼튼의 자세로 대비하는게 맞지만 한동안 평화가 찾아오면 쓰라린 예전의 기억을 잊고 또다시 방심의 대가를 톡톡히 치러야만 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1636년 조선 인조때 겪었던 병자호란이다. 국운이 다해가던 명나라와 욱일승천의 기세로 떠오르던 청나라가 명운을 건 대회전을 앞둔 상황에서 조선은 광해군의 중립 실리외교, 줄타기 외교를 통해 간신히 예봉을 피했으나 정통 사대부들이 중심이 된 인조반정으로 인해 확실하게 명나라 편에 서면서 결국 이땅의 백성들은 청에 의해 무참히 도륙을 당했다. 실로 가슴아픈 일이다. 그런데 말이 중립외교, 줄타기 외교이지 고래싸움이 격화하면 격화할수록 결국 새우는 중립을 지킬 수 없고, 누구 편에 설것인지 확실한 선택을 강요당하게 된다. 구한말 이 나라는 풍전등화의 위기에 직면했다. 종주국인 청나라는 말할것도 없고, 명치유신을 통해 빠르게 부상하는 일제,그리고 서양세력인 미국, 러시아,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열강들은 침을 흘리며 이 땅을 노렸다. 마치 매미 잡으려는 사마귀를 참새가 노려보는 형국이었다. 때마침 1880년께 일본 주재 청국공사관의 황준헌은 조선책략(朝鮮策略)을 제시했다. 쉽게말해 조선이 살아남으려면 '친중결일연미'(親中結日聯美) 해야 한다는 거다. 결과적으로 조선은 친중도, 결일도, 연미도 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다가 나라를 잃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 직후 '안미경중(安美經中)'에서 탈피하는 외교노선을 공식화했다.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이라는 선택이 과거에는 가능했지만, 현시점에서는 더 이상 유지할 수 없는 형태가 됐다며 사안에 따라, 정세에 따라 전략적 역할을 하겠다는 '실용외교' 노선을 분명히 했다. 그런데 3일 열린 중국의 80주년 전승절 기념식은 향후 미국과 중국의 강렬한 맞대결 양상이 어떻게 전개될지를 잘 보여줬다. 북한이 안보는 러시아, 경제는 중국이라는 소위 ‘안러경중’의 입장을 피력하면서, 대한민국은 미국과도 잘 지내고, 중국과도 잘 지내려는 중립외교, 줄타기 외교가 이젠 확실한 선택을 강요받고 있다. 비단 한 국가의 외교문제만 그런게 아니다. 가뜩이나 세력이 약한 전북으로서는 강원, 충청, 영남 가릴 것 없이 철저히 실용외교에 바탕을 두고 우군을 늘려나가야만 지금의 어려움을 해쳐 나갈 수 있다. 그게 바로 앞으로 추진해야 할 전북책략의 가장 핵심이다. 정치적, 문화적 이유로 우군을 줄이면 줄일수록 전북엔 미래가 없다. 배타성을 강화하면 강화할수록 우군은 줄어든다. 위병기 수석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