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국대통령에 의해 소위 `악의 축'으로 지목된 북한.이란.이라크 3국은 어쩌면 정권을 유지하기가 힘들지 모른다고 미국의 한 전문가가 주장했다.
미 `채널 뉴스 원'의 국제시사물 프로듀서인 미첼 코스는 7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지난달 북한 관광과 96년 걸프전후 이라크 생활 취재, 지난 10년간 몇차례 이란 방문을 통해 이런 생각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코스는 이란은 신정(神政)국, 이라크는 독재국, 북한은 시대에 뒤진 전체주의국인데 어떻게 부시 대통령이 3국을 `악의 축'으로 묶었는지 이해하기가 어려웠으나 3국을 다 방문해본 지금 이 국가들이 어떻게 연결됐는지 약간은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아리랑 축전 관람차 북한을 4박5일간 방문한 코스는 북한의 심각한 식량난과 에너지난, 탈북사태, 아침 조깅조차 허락받아야 하고 자유로운 거리 촬영 및 외국인과 북한 주민간의 대화가 금지된 북한 상황을 경험한 후 베이징(北京)으로 되돌아왔을 때 느낀 첫 소감은 `(좀더) 자유로운' 나라로 돌아왔다는 안도감이었다고 술회했다.
코스는 두번째 소감은 북한 정부가 어쩌면 지속할 수 없으며 이런 생각은 `악의 축' 3국의 공통점이었다며 부시 대통령이 분노를 하든 안하든 간에 3국의 어떤 정권도 아주 오랫동안 존재할 것으로 생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코스는 한국의 문제는 북한과의 통일이 일어날 것인가가 아니라 남한의 눈부신 경제가 통일(이후)을 잘 꾸려나가 큰 타격을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일지 모른다고 강조했다.
코스는 이란의 경우 언론인, 지식인, 미 문화를 좋아하는 중산층 자녀들, 사회.경제적 기회 상실을 참지 못하는 빈곤층에 이르기까지 많은 용감한 사람들이 민주화를 위해 싸우고 있고 이라크의 경우엔 이란보다는 이념적으론 덜 종교적이지만 정권에 대한 도전을 용납치 않고 있으며 이는 장수한 정권과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코스는 익명의 소식통들의 말을 인용, 북한이 이란과 이라크에 탄도탄 미사일 기술을 수출함으로써 외화를 획득하고 있다며 3국은 모두 미국이나 그 동맹국들에 미사일 공격을 가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비우호국이라고 밝혔다.
코스는 부시 대통령이 미국의 동맹국이 아니더라도 중국처럼 강한 상업적(무역) 관계를 갖고 있는 (핵)미사일 보유국에 대해선 크게 걱정하진 않는다면서 이런 사고는 미국과 무역 관계가 없는 북한에도 잘 적용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