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딱따구리] 교육공동체의 갈등과 침묵

김종표 교육문화부기자

중학교 원거리 배정에 항의, 1주일 넘게 계속되고 있는 전주 아중지역 학생들의 등교거부 사태가 전국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자칫 사태가 장기화 될 우려도 있다.

 

등교거부라는 최악의 상황까지 몰린 교육공동체의 갈등은 비단 48명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교육청만의 문제는 분명 아니다. 비슷한 불만을 갖고 있지만 이를 표출하지 않고 수용한 학부모들도 상당수에 이르고 해마다 계속돼 온 이같은 논란이 다시 재연될 소지도 많다.

 

출장수업을 제안한 해당 학교 교장과 얼굴도 보지 못한 제자의 빈 자리를 지켜보고 있는 교사들의 자괴감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지역 현안을 놓고 최후의 카드로 빼낸 등교거부도 아니고 문제의 중심에 교육당국과 학교·학생·학부모가 모두 얽혀있다. 이같은 점에서 중앙과 지방의 교육현안에 대해 꼬박꼬박 목소리를 내 온 도내 교원단체들과 교육관련 시민단체의 침묵이 의아하다.

 

어느 한쪽 입장을 대변할 수 없는 미묘한 사안이라는 점에서 한편으로 이해는 간다. 하지만 법정으로 비화될 조짐까지 보이며 사회문제화 된 교육주체들의 대립과 갈등을 풀어내는 일은 사법부에 앞서 지역 교육공동체에게 주어진 몫이다.

 

지난 2003년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 반대투쟁과 맞물려 발생한 부안지역 등교거부 와 관련, 교사들이 조속한 사태해결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한 일과 비교된다.

 

정해진 원칙을 지키겠다는 교육당국과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학부모들 사이의 평행선을 좁히기 어려운 시점이어서 그 역할에 더욱 아쉬움이 남는다.

 

변호사를 선임한 학부모들은 행정소송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소송이 진행된다면 양쪽 모두 사법부의 판단에 따라야 하는 만큼 이제 학부모들도 냉철하게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 소송에는 짧지 않은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사태가 해결될 때까지 학생들이 더 이상 학교의 울타리 밖에 남아있지 않도록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명분이나 감정보다는 학생들의 피해를 막는 일이 우선이다.

 

김종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경찰, ‘전 주지 횡령 의혹’ 금산사 압수수색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다 모였다"… 도농 상생 한마당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짝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