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한국과 미국, 중국, 러시아 등 주요국과 전방위적 외교갈등을 빚고 있다.
일본 일각에서는 주요국과의 외교갈등이 지속될 경우 경제전반에 심각한 암운을 드리우는 것은 물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 달성 등 외교현안에서도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최대 현안은 시마네(島根)현의 '다케시마(독도)의 날' 조례 제정과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 등으로 불거진 한국과의 갈등이다.
한국인의 '반일감정'이 들끓면서 이달로 예정됐던 양국 외무장관 회담이 연기되고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전면에 나서 초강경 대일(對日)비판 담화를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당초 일본측은 외무장관 회담을 양국간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의 계기로 삼으려했으나 첨예해진 외교갈등 탓에 FTA협상은 더욱 어려운 국면에 빠져들 것으로 관측된다.
또 일본과 한국은 일본의 김 수입제한을 놓고도 세계무역기구(WTO)의 분쟁처리위원회에서 조만간 다툴 예정이어서 양국의 경제협력을 둘러싼 행방은 매우 불투명한 상황이다.
일본은 미국과는 2003년말 광우병 파동 이후 중단된 미국산 쇠고기수입의 재개여부를 놓고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다.
일본측이 수입재개 시기를 명확히 밝히지 않음에 따라 미국 의회와 축산업계가 강력히 반발, 대일(對日)제재 여론이 들끓고 있다. 다음달 미국 의회가 재개되면 대일제재 움직임이 표면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과 일본의 경제분야의 포괄적 관계강화를 목표로 한 새로운 전략협의기구의 설치를 추진해왔으나 쇠고기 문제에 걸려 답보상태에 빠져들었다.
중국과는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의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로 양국 정상의 상호방문 회담이 중단돼 있는 상태인데다 동중국해 가스전과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타이) 영유권 등을 둘러싸고 마찰이 격화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로 최근 중국에서는 반일감정이 격렬해지면서 일본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반대 서명과 2차대전시 일본군 만행에 대한 사죄요구가 불거지는 등 네티즌을 중심으로 반일기운이 거세지고 있다.
러시아와는 북방4개섬(일본명 북방영토ㆍ 러시아명 쿠릴열도) 영유권을 둘러싼 갈등이 해결기미를 보이지 않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일본방문 성사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니혼게이자이(日經)신문은 거대 수출시장인 미국 및 중국과의 마찰, 한국과의 FTA협상 차질 등으로 글로벌화를 축으로 경제성장지속을 목표로 한 일본의 전략이 위험에 빠졌다 지적했다.
하치로 요시오(鉢呂吉雄) 일본 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은 이같은 상황에 대해 지난 18일 고이즈미 총리의 외교가 사면초가에 놓여 "일본이 고립상태에 빠졌다"고 비판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