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표 교육문화부기자
원거리 중학교 배정에 반발, 등교를 거부해 온 전주 인후동 아중지역 학생들이 마침내 학교로 돌아오게 됐다. 새 학기가 시작된 지 무려 40여일만이다.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힘들었던 이번 등교거부 사태는 교육청과 학부모뿐 아니라 해당지역 주민과 일부 정치인·교육위원, 그리고 사건을 취재한 언론인들 간에 갈등의 골을 만들어 놓았다.
도교육위원회가 주관한 중재위원회에 참여했던 기자도 해당 학부모들로부터 부탁과 원망의 소리를 연이어 들어야 했다. 학생들이 제 위치가 아닌 학교밖에 나와 당사자들의 대립각이 날카로웠던 까닭이다.
이제는 쌓인 앙금을 하루빨리 씻어내야 한다. 학교 울타리 밖에서 상급학교 진학이라는 설레임 대신 원망으로 하루 하루를 보낸 학생들의 상처를 치유하는 일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같은 임무는 이제 대립관계 여부를 떠나 교육가족 모두의 몫이 됐다.
갈등을 서둘러 봉합하고 학생들이 빠른 시일내에 학교현장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당국과 교사·학부모들이 관심의 끈을 조여야 한다.
학부모들은 자녀가 뒤늦게 등교한 학교에서 집단 따돌림을 당하지 않을까 걱정이 될 것이다. 한달 넘게 겉돌았던 학생들이 학교에 제대로 적응할 때까지는 사태가 완전히 해결됐다고 볼 수 없다.
장기간 계속된 아중지역 등교거부 사태는 원하지 않더라도 교육당국과 학부모간의 대표적인 갈등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양쪽 모두 길게만 느껴졌을 갈등의 끝에서 결국 중학교 배정원칙에 예외가 인정된 점은 후일을 생각할 때 꺼림칙하다. 그러나 지역사회 합의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고육지책이었던 만큼 다시 이같은 사례를 꼬투리 잡아 원칙을 흔들어대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묵묵히 원칙과 규정을 준수하고 있는 우리 사회 다수 구성원들이 자괴감을 느끼는 일은 더이상 없어야 한다.
홍역을 치른 중학교 배정방식도 지역사회 폭넓은 의견수렴 과정을 다시 거쳐 정당성을 확보해 놓아야 할 것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