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이복(전주 우아성당 주임신부)
막 새내기 신학생이 되어 설레임과 기쁨으로 충만할 때 첫 영성지도 시간을 맞이하였다.
머리가 하얀 노 사제(따지고 보니 지금의 내 또래 였지만)가 자리를 잡고 앉으시자 잠시 깊은 침묵이 흘렀다.
눈을 지그시 감으시고 한 참을 보내시더니 조용히 이렇게 첫 입을 여시었다.
“지금 내가 너희들을 보고 있자니 한편으로는 장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가슴이 메어지는구나. 내가 살아온 세월을 너희도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니 눈물이 난다.”
지난 주간 동안 우리 전주교구 사제들은 모두 사목 일선에서 물러나 안양에 있는 아론의 집에서 한 주간을 같이 보냈다.
피정 마지막 날 저녁 이제 갓 사제가 된 새 사제들과 삼십대 초반의 젊은 사제들과의 술자리가 있었다.
취기가 약간 오르자 몸도 마음도 같이 따뜻해져 서로의 애환이 섞여지기 시작하였다.
안쓰럽게 보였다. 그리고 그 옛날 35년전 내가 들었던 그 얘기를 똑같이 하고 있는 나를 발견 하였다.“얘들아 내 너희들을 보고 있자니 가슴이 아프구나. 나야 28년이란 세월을 사제로 살았으니 이젠 그럭저럭 살아 갈수 있겠지만 너희 같이 젊은 놈들이 그간 내가 살아온 그 세월을 똑 같이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니 눈물이 나는구나.”
그 때 내 나이 또래의 노 사제(?)께서 하신 말씀이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몰랐듯이 그들 또한 내가 지금 무슨 말을 하는지 못 알아듣겠으나 그냥 그렇게 얘기하고 싶었다.
그러나 그들도 내 또래가 되면, 지금에야 내가 그 말을 되씹듯이 그들 또한 이렇게 되씹으며 아파하리라.
산 다는 것! 이거 참 장난이 아니다.
저 파아란 가을 하늘을 나르듯 기쁘고 환희롭기도 하지만 천길 낭떠러지기에 추락하듯 어둡고 허망하기도 하다.
그리고, 그래서 남는 것은 무엇인가!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이제 나이 들고 병들어 쓸모없는 몸뚱이 밖에 없지만 눈으로 볼 수 없는 그 무엇이 남았으니 드디어 보이지 않았던 내 모습이 서서히 보여 지는 것 - 그것이 남았다.
이제야 나는 지금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으며 현재의 나의 위치 - 나의 XY 좌표가 보이기 시작 한다는 것이다.
허나 이 또한 지금 이 자리에서의 나의 모습일 뿐이다.
더 나이가 들어 나의 좌표가 이동 되었을 때 나는 또 누가 되어 나타날지 나도 모른다.
하지만 이젠 두렵지 않다.
아니 오히려 그 날을 기다리며 산다.
참 아름다울 것 같다.
참 좋을 것 같다.
그래서 살아 있음이 참 고맙고 감사하다.
/권이복(전주 우아성당 주임신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