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우 기자(임실 주재)
"임실군이 농촌이라고 깔보는 것인지, 아니면 힘으로 해보자는 것인지 전주시의 독선행정에 과감히 맞서겠습니다".
전주시가 최근 밝힌 '9월중 35사단 이전 추진'을 두고 29일 임실군의회를 항의 방문한 찬성위 주민들의 각오다.
그럴 만한 이유로는 현재 반투위 주민과 관련 단체들의 분위기가 험악한 상태에서 전주시가 불을 붙였다고 본 것이다.
사실 전주시는 지난해 10월 임실군에 '35사단 이전에 따른 협조' 공문을 단 한차례만 발송한 뒤 이렇다 할 협의가 없었다.
김진억 군수도 '주민과 관련 단체와의 충분한 교감을 나눈 뒤 검토할 사항이다' 며 신중한 태도를 보인 시점이었다.
군부대를 유치하려는 현지 주민과 찬성위 위원들도 반투위의 눈치를 보느라 숨죽이고 있는 것은 불문가지.
하지만 눈치없는 전주시는 9월중 군부대 이전 착수를 언론에 흘렸고, 한술 더 떠 금주중 임실군민과 토론회 개최 계획까지 나왔다.
임실군과 사전 협의나 조율도 없었다.
전주시의 일방통행에 찬성위 주민마저 외면한 것은 임실군민을 우습게 보지말고 자치단체로서 말이나 행동이 점잖게 방정(方正)하라는 뜻이었다.
전주시가 먼저 할 일은 35사단 이전계획을 임실군과 주민들에 공개하고 지금까지의 경과와 향후 일정을 협의해야 했다.
또 공용화기 사격장 설치 유무와 소음대책 등 부대 이전 규모와 피해보상대책, 지역개발에 따른 인센티브 등의 상호정보도 나눠야 했다.
그런 후 주민설명회를 갖고 공론화 과정을 거쳐 실무협의회를 구성하는 기본적 단계후에 자치단체간 합의도출로 이어지는 수순이 필요했던 것이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전주시는 임실군민에 정중히 사과하고 새롭게 출발하는 의미에서 얽힌 실타래를 차근차근히 풀어 나가야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